나는 멋사 교육 중 인프라 배포 파트에서 NCP를 이용하기 때문에 NCP를 이용하게 되었고, 네이버 측에서 멋사에 지원을 해준 덕에 편하게 실습을 이용할 수 있던 것 같다.
NCP 사이트 내 콘솔 메뉴 들어가면 왼쪽 카테고리 바에 Server 메뉴 존재.
없다면 따로 설정에서 설정해줘야 할 것
서버 카테고리에 서버 생성 버튼 누른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등장한다. 부팅 디스크 크기, 이미지 타입, os 이미지 타입, 서버 타입 등 사용자 취향에 맞게 끔 설정해주면 된다. 나는 교육에 필요한 설정으로 지정했다.
필수 사항 부분은 무조건 설정해주고 설정 법은 취향대로 해도 된다. 다만, 서버 설정에 따라 매달 내야하는 금액이 달라진다.
그리고 서버에 입장하기 위해 인증키를 생성해야 한다. 기존 키가 있다면 강조한 부분 위 버튼을 선택해도 되지만, 처음 생성하는 것이니 새로 키를 생성하고 개인이 정하고 싶은 이름으로 지정하면 전용 인증키가 부여된다. (중요한 키이니 잘 보관하도록)
![]() | ![]() |
---|
다음으로 넘어가면 네트워크 접근 설정에서 자신이 지정한 ip에 포트를 지정하고 저장하면 해당 ip가 서버에 접근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자신이 선택한 옵션이 맞는지 마지막으로 확인한 후 서버를 생성하면 된다.
생성하면 이와 같이 리스트에 등장할 것이다. 나는 도커를 이용하여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하므로, 도커로 실습을 해보고자 서버를 생성 원한다면 ncp로 실습 진행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