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인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 및 다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즉, 중개자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자원 관리
컴퓨터 시스템 자원(하드웨어)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ex) 각 프로그램이 CPU를 얼마나 사용할지 결정해주는 역할, 각 프로그램에 메모리를 얼마나 할당해 줄것인지 등
자원 보호
프로그램이나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중요 파일에 접근하지 못하게 컴퓨터 자원들을 보호한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제공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 하드웨어의 연결에서 호환성을 보장한다. 운영체제는 드라이버라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설치해 어떤 제품이던지 사용자에게 plug & play 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사용자가 운영체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ex) 마우스 포인터, 폴더, 작업 표시줄 등
프로그램
파일이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만 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를 할당받지 않은 정적인 상태
프로세스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스레드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순간 해당 파일은 컴퓨터 메모리에 올라가게 되어 동적인 상태가 되고, 이 상태의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프로세스는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는다.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당 최소 1개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다.
각 프로세스는 별도의 주소 공간에서 실행되며, 한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할 수 없다.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에 접근하려면 IPC(Inter-Process Communcation), LPC(Local inter-Process Communication)사용 또는 별도로 공유 메모리를 만들어 정보를 주고 받도록 해야한다.
but, 이는 단순히 CPU 레지스터 교체뿐만이 아니라 RAM과 CPU 사이의 캐시 메모리까지 초기화되기 때문에 자원 부담이 크다.
과거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행 시작부터 끝까지 하나의 프로세스만을 사용해 진행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하나의 프로세스를 사용하는것에 어려움이 생겼다.
“한 프로그램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여러개 만들면 되지 않나?” 라는 의견
→ 운영체제는 안전성을 위해 프로세스마다 자신에게 할당된 메모리 내의 정보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약을 두기 때문에 이를 벗어나는 정보에 접근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즉, 프로세스간 정보 공유가 안되기 때문에 여러 프로세스가 한 프로그램을 처리하기는 어렵다.(프로세스의 특징 4번을 사용하면 되지만 자원 소모가 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작은 실행 단위 개념인 스레드가 생겨나게 되었다.
운영체제의 관점에서는 프로세스가 최소 작업 단위인데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더 작은 작업 단위인 스레드끼리의 메모리가 공유되어야 한다.
[OS] 운영체제란? (운영체제의 역할, 목적, 종류,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