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Lab & Jenkins를 활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2편 : Jenkins 서버 구성)

steve·2024년 3월 11일
0

DevOps

목록 보기
2/8
post-thumbnail

개요

  • Jenkins 서버를 구축 해본다
  • 공식 지원하는 도커 이미지를 사용한다
  • Plugin을 설치하고 Credential을 생성한다

Jenkins 공식 Docker Image 확인

Docker Container로 Jenkins 구동하기

  • Jenkins Container 내부에서 Docker daemon을 사용하기 위해 docker.sock파일을 공유하여 컨테이너를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docker.sock을 볼륨에 등록해야 함
    docker pull jenkins/jenkins:jdk17
    docker run -itd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restart unless-stopped --name do-jenkins-new -p 5002:8080 jenkins/jenkins:jdk17

Jenkins 접속 및 관리

  • 브라우저에서 위 Jenkins 구동중인 서버의 서비스 포트로 접속 (예: http://192.168.10.51:5002)
  • 초기 패스워드 사용하여 로그인
  • CI / CD 구축을 위한 Git & GitLab 플러그인 설치
  • 연동 대상 GitLab에 접속할 수 있는 Credential 생성
    • Credential은 이전 포스팅에서 생성한 GitLab 페이지에 로그인하여 유저 계정의 Credential을 발급받아 사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