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암호 화폐 블록에 기록하며 체인처럼 이어가는 기술
- 거래 내역 정보를 중앙 집중형 서버에서 관리하지 않고 네트워크 상 모든 참가자들이 데이터를 블록으로 분산시켜 저장하는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 분산 원장 기술의 원리로 해킹이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 모든 거래 참여자가 거래 내역을 확인 (작업 증명, Proof of work)
블록체인 동작 프로세스

블록체인 구조

- Version number : 데이터 구조 버전
- Parent block hash : 블록의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해시
- Merkle root : 블록에 들어있는 모든 거래의 요약본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 집합을 효율적으로 요약하고 검증 가능)
- Timestamp : 블록의 생성 시간 (초단위)
- Difficulty : 블록 생성 난이도 (네트워크 전파 속도 및 보안성 이유로 10분으로 채택)
- Nonce : 작업 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카운터로 값을 바꿔주는 역할
- Transaction count : 거래 개수
- Coinbase Transaction : 블록 생성 시 발생되는 비트코인, 본 블록을 마이닝한 마이너의 수입
- 트랜잭션 : 10분 동안 수집한 거래 정보
분류
- Public Blockchain
Pros :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 운영 가능, 투명성 보장 (모두에게 공개), 법 규제에 자유로움
Cons : 검증 또한 모든 노드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는 필연적
- Private Blockchain
Pros : 허가받은 대상들만 노드로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Public 대비 성능 향상, 비용 저렴
Cons : 법 규제를 준수해야 함, 투명성은 Public 대비 낮음
출처
https://mlsdev.com/blog/156-how-to-build-your-own-blockchain-architecture
https://www.mdpi.com/2079-9292/12/6/1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