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 : 컴퓨터를 두 대 이상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 인터넷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다. 전 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든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 즉,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패킷이란?
- 패킷 :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사용되는 작게 분할된 데이터 조각으로,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다.
- 용량이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다.
- 대역폭(bandwidth) :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말한다.
- 송신 측에서 패킷으로 전송하면, 수신 측에서는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되돌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송신 측에서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낸다.
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비트와 바이트란?
- 디지털 데이터 : 0과 1의 집합
- 비트 : 정보의 최소 단위로 0 또는 1을 나타낸다.
- 바이트 : 컴퓨터의 정보량 단위로 8비트를 1바이트라고 한다.
- 문자 코드 : 컴퓨터는 0과 1만 다루기 때문에 각 숫자의 문자 대응표(문자 코드)를 미리 만들어 문자 입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비트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3. 랜과 왠
랜과 왠의 차이
-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랜(LAN) :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 왠(WAN) : 랜을 다시 하나로 묶는 거대한 네트워크. 특정 도시, 국가, 대륙과 같이 매우 넓은 범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한 네트워크
- ISP :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다. 현재 KT, U+, SK 브로드밴드와 같은 ISP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 랜 | 왠 |
---|
범위 | 좁다(건물이나 특정 지역) | 넓다(랜과 랜을 연결) |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오류 | 적다 | 많다 |
4.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집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랜이다.
-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먼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유기라는 장비가 필요하다.
- 접속 방식에는 유선 랜 방식과 무선 랜 방식이 있다.
- 케이블 유무에 따라 유선 랜, 무선 랜으로 나뉜다.
- 한 가정에서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5.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소규모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 가정에서와 달리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
- DMZ : 인터넷인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서브넷)을 말한다.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으로 외부 공격자가 내부 네트워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주로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한다.
- 웹 서버 :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기 위함
- 메일 서버 :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함
- DNS 서버 :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 가능하게 하기 위함
- 회사의 서버는 온프레미스나 클라우드로 운영되고 있다.
- 온프레미스 :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
-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 랜에 접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