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7

인정이형·2024년 7월 17일
0
  1. QoS: 새치기 L3에서 사용
  2. CoS: L2에서 QoS 해야할 때 사용, 0~7까지 범위가 있다 운영체제에서는 보통 쓰지 않는다

일반적인 gateway = default gateway
ip phone gateway = voice gateway
ip phone(hardware) = CIPC(software)

voice gateway는 풀 라우팅 기준 다른 라우터의 포트에 지정가능
codec = coder + decoder

VoIP codec = G.711

max-ephones N: N개만큼 폰 연결
max-dn N: dial number, 전화번호 N개만큼 필요


Layer 2 Network

symmetric switch: 전부 fastethernet, giga(전부 동일한 대역폭)
asymmetric switch: fa, gi 섞어쓰는경우(다른 대역폭)

switch 단에서 broadcast domain을 나눌수는 없을까?

-->VLAN

VLAN 1 = Default VLAN

VLAN이 보안성이 좋다의 의미= 라우터랑 연결이 되어있지 않을 때

TRUNK

VLAN이 늘어날때마다 스위치끼리 vlan을 설정해줄수 없다
trunk 한줄로 선언

trunk로 하니까 VLAN 설정하는 의미가 없네?

데이터를 많이 주고 받는 VLAN은 따로 회선 설정을 한다

VLAN의 장점

물리적인 위치와 상관없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수 있다

default NATIVE VLAN ????? 스위치에서 reply할때 default vlan 1 정보를 태워서 reply 해줌


VLAN의 종류

SVI: Switched Virtual interface

  1. Voice VLAN
  • 일반적으로 VLAN 150번을 쓴다
  1. Data VLAN
profile
왕초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