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언어를 작성할때는 먼저 디자인할 코드를 작성해준다
css언어는 모두 중괄로{} 안에다 작성한다
<head>
<meta charset="utf-8">
<style>
h1 {
color: red;
}
</style>
</head>
위 css언어를 이용한 첫 예제를 보면 color을 css의 속성이라 하고, red 는 속성값이라 한다. 그리고 반드시 문법을 마치면 ;를 붙여야 한다. 그러치 않으면 후에 작업에 지장을 미친다.
<body>
<h1 style="background-color: pink;">Hello World</h1>
</body>
또다른 방법으로는 위와 같이 태그 안에 속성을 넣어서 하는 방법이 있다.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style.css">
위에 rel은 연동되는 파일의 타입을, type은 어떤언어로 구성되어 있는지, href는 연동되어 있는 파일의 경로를 나타낸다.
<header> //부모태그
<ul> //자식태그
<li></li>
<li></li>// 형제태그
<li></li>
</ul>
</header>
위에 소스코드는 기본적인 html 구조를 나타낸 모습이다.
소스코드의 구조를 보듯이 태그에도 상.하 관계가 존재한다.
<!-- style 속성 > id > class > tag -->
위에 소스코드는 상.하 관계에 따른 간단한 예시이다.
style 속성 가 id 속성의 상위 속성이고, id 속성는 class 속성에 대해서 상위속성이다, 그리고 class속성는 여타 기본적인
color속성보다 상위태그이다.
*id속성 : 아름이라 생각, 태그 안에 한번만 사용 가능하다.
*class속성 : 별명이라 생각, 여러개의 속성값을 복수로 가지고 사용이 가능하다.
우선 html언어를 css언어로 나타낼때 다르게 표시하는 속성들이 존재 한다는것을 기억하고 있어야한다.
border: 테두리를 나타낼때 사용하는 속성
background-color: 뒷배경의 색을 나타내는 속성
wigth : 공간의 크기를 설정 , 가로폭
heigth : 공간의 크기를 설정 , 세로폭
min,max wigth : %를 가지고 있는 속성값에 사용. 최소값, 최대값 가로폭에 한하여
min,max heigth : %를 가지고 있는 속성값에 사용. 최소값, 최대값 세로폭에 한하여
border-radius : 테두리 각 모서리의 곡면을 설정
font-size : 글자의 크기 설정
font-style : 글자의 스타일 설정
font-family : 글자의 서체를 설정, 복수로 설정가능 웹브라우저 의 사용 유무에 따라
font-weight : 글자의 굵기를 설정
text-decoration : 글자의 밑줄을 적용
text-align : 글자의 위치를 이동, 주의점 태그의 영역의 안에서만 이동이 가능
list-style : ul태그작성시에 글자앞에 점을 제거
opacity : 투명도의 영향을 미치는 속성, 0~1사이의 값으로 만 지정 가능
오늘은 css언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배웠다. 그전까지 접해본적이 없어 생소했고, 신기했다. 그런데 강의진도가 내생각 과 달리
상당히 빠르게 느껴져 용량초과? 라는 느낌이 들어 복습 또 복습이 살길이라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