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는 AWS 요금에 관련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최근 AWS EC2를 사용하면서 요금이 청구된 것을 보고 조금 당황했습니다.
왜냐하면 AWS 프리티어로 인스턴스를 생성했기 때문에 요금이 발생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결제 메시지가 오고, 글로만 접하던 요금 폭탄을 받게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금이 발생한 원인을 찾아보고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AWS사이트에 들어가서 Billing을 검색합니다. 그러면 대금 및 비용 관리 대시보드 화면이 뜹니다.
EC2에서 요금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청구서를 자세히 보기 위해 청구서 세부 정보를 클릭합니다.
청구서를 보면 Elastic IP Addresses에서 요금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lastic IP Address는 EC2->탄력적 IP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lastic IP Address를 생성한 이유는 인스턴스의 public IP는 고정된 IP 주소가 아닌 유동적인 IP주도 입니다. 그래서 EC2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재시작하게 되면 IP가 바뀌게 됩니다.
때문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고정 IP가 필요했고 Elastic IP를 생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생성만 하고 연결은 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만약 탄력적 IP(Elastic IP)를 프리티어 인스턴스에 연결을 해두면 비용이 청구되지 않지만, 저처럼 연결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용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와 같은 경우에도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탄력적 IP를 받고 인스턴스에 연결하지 않은 경우
- 프리티어가 아닌 유료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경우
- 프리티어 인스턴스에 연결해놓고 해당 인스턴스를 중지시키거나 삭제하여 탄력적 IP가 뜨는 경우
탄력적 IP 주소를 해제하는 방법은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처럼 AWS에 익숙하지 않으신분들은 한번씩 billing에서 청구된 요금을 확인하여 요금 폭탄을 예방하기 바랍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