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low content
: 바디에 포함할 수 있는 모든 요소- Metadata content
: 콘텐츠와 문서를 구조화 하는 요소를 의미
: 다른 콘텐츠의 표시, 동작, 관계 등을 설정(display: none)- Heading content
: 섹셔닝 콘텐츠의 헤더- Sectioning content
: 문서의 개요를 형성. 헤더, 헤딩, 풋터의 범위
(article, aside, section, nav)- Phrasing content
: 구문 콘텐츠, 단락을 형성하는 콘텐츠- Embedded content
: 외부 자원을 참조하는 콘텐츠- Interactive content
: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잇는 콘텐츠
: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로 조작 가능- Palpable content
: 비어 있지 않은, 볼 수 있는 콘텐츠- Script-supporting element
: 랜더링하지는 않지만 사용자에게 기능 제공- Transparent content models
: 투명 콘텐츠 모델, 부모의 콘텐츠를 따름
1) <table> 콘텐츠의 제목을 마크업할 수 있는 HTML 요소 이름 두 가지를 고르시오.
=> figcaption, caption
2) <form> 요소를 전송할 때 입력 값을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요소는 무엇인가?
=> <input disabled>
3) 다음 중 HTML 문법으로 유효하지 않은 형식은?
=> <section> 요소의 자손으로 <main> 요소를 포함하기
4) 다음 중 HTML 문법으로 유효하지 않은 코드는?
=> <textarea row=4 col=4></textarea>
- 구분자
: -, |, :- javascript
: 검색 로봇은 자바스크립트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한 페이지 타이틀도 크롤링 함- 본문을 잘 설명하는 키워드 중심으로
: 구체적이고 고유한 키워드 사용- 페이지마다 반복하는 키워드 최소화
- 구체적인 키워드를 앞으로 배치
- 가능한 짧게

=> 헤딩
=> 섹셔닝
=> 명시적/암시적 섹션
=> 어색한 섹션
- title 요소와 heading 요소의 차이점
-> title 요소는 문서의 제목.
문서에서 한 번만 사용 가능
-> h* 요소는 섹션의 제목
문서에서 여러번 사용 가능
문서의 개요를 형성하는 기본, 필수 아이템(생략 x)
웹 브라우저와 화면낭독기에 문서 개요를 드러내는 방법
실제로 명세는 구현되어 있지만 브라우저에서는 구현되지 않아 있어 실무 사용에 권장하지 않음
-> 독립적인 개요 생성
-> 섹셔닝 루트 외부에서 내부 개요에 접근 불가

명시적 개요를 생성하는 개요 컨테이너
적절한 수준의 헤딩을 자식요소로 사용해야 함

- article: 기사, 본문, 맥락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
- aside: 페이지의 주요 내용이 아닌
- nav: 사이트의 주된 탐색 메뉴
- section: 주제별로 나누거나 묶는
"섹셔닝 요소를 적극 사용하되 아웃라인 알고리즘(섹셔닝 루트, 헤딩 수준 자동 보정) 명세에는 의존하지 말 것"
"명시적 섹션"
헤딩과 함께 섹셔닝 콘텐츠(article, aside, nav, section)를 사용하여 섹션의 범위를 명시적으로 알 수 있는 섹션
"암시적 섹션"
섹셔닝 콘텐츠를 사용하지 않고 헤딩만을 사용하여 암시적으로 개요가 생성되 섹션

안녕하세요. 강의 저작자 정찬명입니다. 제 강의에 사용한 글과 화면을 이렇게 공개적인 장소에 게시하시면 안 됩니다. 관련 게시물 모두를 비공개로 전환하거나 삭제할 것을 요청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