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줄 바꿈이 되는 박스'로, display 속성값이 블록(block)인 요소는 언제나 새로운 라인(line)에서 시작하며, 해당 라인의 모든 너비를 차지한다.
<div>, <h1>, <p>, <ul>, <ol>, <form> 요소는 대표적인 블록(block) 요소다.
div {
width: 100px;
height: 50px;
}
.first {
background-color: aqua;
}
.second {
background-color: green;
}
.third {
background-color: yellow;
}

'줄 바꿈 없이 옆으로 붙는 박스'로, display 속성값이 인라인(inline)인 요소는 새로운 라인(line)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또한, 요소의 너비도 해당 라인 전체가 아닌 해당 HTML 요소의 내용(content)만큼만 차지한다.
block 박스와는 다르게 inline 박스는 width, height 속성이 적용되지 않는다.
<span>, <a>, <img> 요소는 대표적인 인라인(inline) 요소다.
div {
width: 100px;
height: 50px;
}
.first {
background-color: aqua;
}
.second {
background-color: green;
}
.third {
background-color: yellow;
}
.inline {
display: inline;
}

'줄 바꿈이 일어나지 않는 동시에 block 박스의 특징을 가지는 박스'로, display 속성값이 인라인-블록(inline-block)으로 설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 자체는 인라인(inline) 요소처럼 동작한다. 하지만 해당 요소 내부에서는 블록(block) 요소처럼 동작한다.
인라인-블록 요소는 인라인 요소와 비슷하지만, 너비와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요소처럼 margin을 이용하여 여백을 지정할 수도 있게 된다.
div {
width: 100px;
height: 50px;
}
.first {
background-color: aqua;
}
.second {
background-color: green;
}
.third {
background-color: yellow;
}
.inline-block {
display: inline-block;
}

HTML 요소를 숨기기 위해서는 display 속성값을 none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해당 요소는 웹 페이지에 더 이상 나타나지 않으며,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visibility 속성값을 hidden으로 설정해도 HTML 요소를 숨길 수 있다.
display: none 미설정 시

display: none 설정 시

opacity 속성을 이용하면 HTML 요소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opacity 속성값은 0.0부터 1.0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속성값이 0에 가까울수록 투명한 상태가 된다.
img {
opacity: 0.4;
filter: alpha(opacity=40);
}
img:hover {
opacity: 1.0;
filter: alpha(opacity=1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