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수준으로 작성되었던 모던 웹 이전의 웹 JavaScript 코드와는 달리, 이제는 번들링하게 되면 특정 지점에서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정도가 느려지게 되었다.
모던 웹으로 발전하면서 점점 DOM을 다루는 정도가 정교해지며 JavaScript 코드 자체가 방대해지고 무거워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느 페이지에서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정도가 느려졌는지 파악해서 번들을 나눈 뒤에 지금 필요한 코드만 불러오고 나중에 필요한 코드는 나중에 불러올 수 있지 않을까??”
이것이 코드 분할의 핵심 아이디어다. 번들이 거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좋은 해결 방법은 번들을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다. 코드 분할은 런타임 시 여러 번들을 동적으로 만들고 불러오는 것으로, Webpack, Rollup과 같은 번들러가 지원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코드 분할을 하게 되면 지금 당장 필요한 코드가 아니라면 따로 분리를 시키고, 나중에 필요할 때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대규모 프로젝트의 앱인 경우에도 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 이렇게 lodash 라이브러리를 전체를 불러와서 그 안에 들은 메소드를 꺼내 쓰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import _ from 'lodash';
// ...
_.find([]);
/* 이렇게 lodash의 메소드 중 하나를 불러와 쓰는 것이 앱의 성능에 더 효율적이다.*/
import find from 'lodash/find';
find([]);
React는 SPA(Single-Page-Application)인데, 사용하지 않는 모든 컴포넌트까지 한 번에 불러오기 때문에 첫 화면이 렌더링 될때까지의 시간이 오래걸린다. 그래서 사용하지 않는 컴포넌트는 나중에 불러오기 위해 코드 분할 개념을 도입했다.
React에서 코드 분할하는 방법은 dynamic import(동적 불러오기)
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 전까지는 코드 파일의 가장 최상위에서 import
지시자를 사용해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 및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을 사용했었는데 이를 static import(정적 불러오기)
라고 한다.
기존에는 항상 import
구문은 문서의 상위에 위치해야 했고, 블록문 안에서는 위치할 수 없는 제약 사항이 있었다.
왜냐하면 번들링 시 코드 구조를 분석해 모듈을 한 곳에 모으고 사용하지 않는 모듈은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데, 코드 구조가 간단하고 고정이 되어 있을 때에야만 이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었다.
/* 기존에는 파일의 최상위에서 import 지시자를 이용해 라이브러리 및 파일을 불러왔다. */
import moduleA from "library";
form.addEventListener("submit", e => {
e.preventDefault();
someFunction();
});
const someFunction = () => {
/* 그리고 코드 중간에서 불러온 파일을 사용한다. */
}
dynamic import
를 사용하게 되면 불러온 moduleA 가 다른 곳에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form을 통해 양식을 제출한 경우에만 가져오도록 할 수 있다.
dynamic import
는 then
함수를 사용해 필요한 코드만 가져온다. 가져온 코드에 대한 모든 호출은 해당 함수 내부에 있어야 하며, 이 방식을 사용하면 번들링 시 분할된 코드(청크)를 지연 로딩시키거나 요청 시에 로딩할 수 있다.
form.addEventListener("submit", e => {
e.preventDefault();
/* 동적 불러오기는 이런 식으로 코드의 중간에 불러올 수 있게 된다. */
import('library.moduleA')
.then(module => module.default)
.then(someFunction())
.catch(handleError());
});
const someFunction = () => {
/* moduleA를 여기서 사용한다. */
}
// Static Import
import { add } from './math';
console.log(add(16, 26));
// Dynamic Import
import("./math").then(math => {
console.log(math.add(16, 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