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사용법

윤동규·2023년 4월 1일
0
  1. Git —version
    Git 공식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기
  1. code .
    => command platte => code => shell command

  2. 명령어 옵션은?
    git config commit add~~ 이런식으로 옵션을 붙일수 있다

git init => git 초기세팅

git add . => 현재 디렉토리에서 git staging area로 바꾸는법

Git status => 깃 현재 디랙토리 확인 (빨간색일경우 아직 working디렉토리에서 안옮겨짐)

git commit -m "커밋이름" => staging area에서 git directory로 옮김

git log => git directory에 있는 git history 확인 가능

git log --pretty=oneline => 예쁘게 꾸밀수 있음

git log --pretty

git config --global alias.hist

git log --graph --all --pretty=format:'%C(yellow)[%ad]%C(reset) %C(green)[%h]%C(reset) | %C(white)%s %C(bold red){{%an}}%C(reset) %C(blue)%d%C(reset)' --date=short

git reset —hard 커밋주소 => 깃 커밋 Head를 옮기고 싶을 경우에 사용


Remote
지금까지는 나의 Local에서 작업해다면 다른 사람과 공유를 위해 remote git 서버에 push해줘야함

=> 명령어 : git remote add origin(원하는 서버이름) "깃주소"
git remote -v 를 통해 확인가능

Push

=> push를 통해서 remote로 이동가능

명령어 : git push origin master or git push (서버이름) (브랜치)


Clone => 아직 안가르쳐줌

ls => 를 통해 현재 파일들을 확인
git clone "깃주소" Or git clone -b master "깃주소" (master 브랜치만 clone)

Branch

다른 사람과 동시 다발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브랜치를 만들어 협업진행

나의 작업이 끝났을경우 master(뿌리)와 merge

git branch 브랜치이름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git merge 브랜치이름


추천하는 협업규칙 => 아직 안가르쳐줌

규칙
브랜치는 제품 백로그 단위로 생성한다
백로그는 pull request를 통해 생성한다.
commit 할때 Commit Message Rule 을 지켜준다.

Commit Message Rule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update : 버전 등 업데이트
  • fix : 수정
  • bug : 버그 수정
  • docs : 문서
  • style : 코드 스타일 혹은 포맷 등에 관한 커밋
  • refactor : 코드 리펙토링
  • test : 테스트 코드 수정

첫글자는 대문자
커밋메시지 예시 ex) [Feat] 게시물 기능
Pull Request Rule
브랜치의 이름은 feature/ 기능 으로 설정한다.

ex) feature/login

pull request의 경우에는 스프린트 백로그를 기준으로 생성하고 제목은 커밋 제목

브랜치 전략

  • master : 라이브 서버에 제품으로 출시되는 브랜치.
  • develop : 다음 출시 버전을 대비하여 개발하는 브랜치.
  • feature : 기능 개발 브랜치. develop 브랜치에 들어간다.
  • release : 다음 버전 출시를 준비하는 브랜치. develop 브랜치를 release 브랜치로 옮긴 후 QA, 테스트를 진행하고 master 브랜치로 합친다.
  • hotfix : master 브랜치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하는 브랜치.
profile
풀스택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