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48강 배열과 문자열

DongHo Im·2022년 1월 25일
0

정보처리산업기사

목록 보기
48/86

1. 배열의 개념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유형을 여러 개 사용해야 할 경우 이를 손쉽게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변수들을 조합해서 하나의 이름으로 정의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배열은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 기억장소를 가리키기 때문에 배열에서 개별적인 요소들의 위치는 첨자를 이용하여 지정한다.

  • 배열은 변수명 뒤에 대괄호 [] 를 붙이고, 그 안에 사용할 개수를 지정한다.

  • C언어에서 배열의 위치는 0 부터 시작된다.

  • 배열은 행 우선으로 데이터가 기억장소에 할당된다.

  • C언어에서 배열 위치를 나타내는 첨자 없이 배열 이름을 사용하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의 주소를 지정하는 것과 같다.


2. 1차원 배열

1차원 배열은 변수들을 일직선상의 개념으로 조합한 배열이다.

형식

C언어*

자료형 변수명[개수];
  • 자료형 : 배열에 저장할 자료의 형을 지정한다.
  • 변수명 : 사용할 배열의 이름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다.
  • 개수 : 배열의 크기를 지정하는 것으로 생략할 수 있다.
    Java
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개수];
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개수];
  • Java 에서 배열은 객체로 취급되며, ‘new’ 명령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 Java 에서는 ‘자료형[] 변수명’ 의 형식으로도 선언할 수 있다.
  • C언어에서는 이 형식을 사용할 수 없다.

3. 2차원 배열

2차원 배열은 변수들을 평면, 즉 행과 열로 조합한 배열이다.

형식

자료형 변수명[행개수][열개수];

예제

  • 3행 4열의 숫자 배열 a
  int a[3][4]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4. 배열의 초기화

배열 선언 시 초기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배열을 선언할 때 배열의 크기를 생략하는 경우, 반드시 초기값을 지정해야 그 개수 만큼의 배열이 선언된다.

  • 배열의 초기 값을 ‘숫자,(콤마)’로 지정하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에는 지정한 숫자가 입력되고, 나머지 요소에는 0이 입력된다.

예제

int a[5] = {3, } = {3, 0, 0, 0, 0}

5. 배열 형태의 문자열 변수

C언어에서는 큰따옴표(““)로 묶인 글자는 글자수에 관계없이 문자열로 처리된다.

  • C언어에는 문자열을 저장하는 자료형이 없기 때문에 배열 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형식

char 배열이름[크기] = "문자열";
  • 배열에 문자열을 저장할 때는 배열 선언 시 초기값으로 지정해야 하며, 이미 선언된 배열에는 문자열을 저장할 수 없다.

  • 배열에 문자열을 저장하면 문자열의 끝을 알리기 위한 널 문자(‘\0’)가 문자열 끝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 문자열 끝에 자동으로 삽입되는 널 문자(‘\0’)까지 고려하여 배열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

profile
[DATABASE] 비전공자 출신의 개발 도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