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5강 인터넷

DongHo Im·2022년 1월 18일
0

정보처리산업기사

목록 보기
5/86

1. 인터넷의 개요

  • 인터넷이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 인터넷은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다.

  • 통신망과 컴퓨터가 있다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주소를 가진다.

  •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된다.

  •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말을 일컫는 용어를 백본(Backbone)이라고 한다.


2.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이다.

  • 숫자로 8비트씩 4등분,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IPv4)

  • 네트워크의 길에 따라 A클래스 ~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있다.

A 클래스의 네트워크 주소는 0 ~ 127로 시작하지만 0번과 127번은 예약된 주소이므로 실질적으로는 1 ~ 126으로 시작된다.


3. 서브네팅(Subnetting)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4.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됨

  •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자료 전송 속도가 빠름

  •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 해결 가능

    • 인증성 : 사용자의 식별과 접근 권한 검증

    • 기밀성 :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료는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 허용

    • 무결성 : 시스템 내의 정보는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

  • Traffic Class, Flow Label을 이용하여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이 용이

    • Traffic Class : IPv6 패킷의 클래스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필드

    • Flow Label :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들의 흐름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필드

  • 패킷 크기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패킷 크기에 제한이 없다.

  • 기본 헤더 뒤에 확정 헤더를 더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기능 확장이 용이하다.

  • 자동으로 네트워크 환경 구성이 가능하다.

  • IPv4 와 IPv6의 차이점

5.IPv6의 구성

  •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
  •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하여, 콜론(:)으로 구분
  • IPv6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주소 체계를 가지고 있다.
    • 유니캐스트 : 1:1 통신
    • 멀티캐스트 : 1:N 통신
    • 애니캐스트 : 1:1 통신, 유니캐스트와 다르게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수신자 간의 통신


6. 도메인 네임(Domain Name)

  • 숫자로 된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DNS(Domain Name System)라고 하며 이런 역할을 하는 서버를 DNS 서버라고 한다.


7. 인터넷 서비스

  • 인터넷 서비스는 TCP/IP의 응용 계층에서 제공한다.
  1. WWW (World Wide Web)
    • 텍스트, 그림, 동영상, 음성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거미줄처럼 연결해 놓은 종합 정보 서비스
    •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 텍스트 기반
    •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라고 한다.
  2. E-Mail(전자우편)
    • 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과 편지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 전자우편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 SMTP: 메일 전송에 사용
      • POP3: 메일 수신에 사용
      • MIME: 웹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는 각종 멀티미디어 파일의 내용을 확인 및 실행
  3. FTC(File Transper Protocol)
    • 파일 전송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
  4. Telnet (텔넷) = 원격 접속
    •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 프로그램 실행하는 등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상의 터미널(Virtual Machine)기능 수행
profile
[DATABASE] 비전공자 출신의 개발 도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