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69강 E-R(개체-관계) 모델

DongHo Im·2022년 1월 27일
0

정보처리산업기사

목록 보기
69/86

1. E-R 모델의 개요

E-R(Entity-Relationship, 개체-관계)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1976년 피터 첸에 의해 제안되고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정립되었다.

  • E-R 모델은 개체와 개체 간읜 관계를 기본 요소로 이용하여 현실세계의 무질서한 데이터를 개념적인 논리 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개체 타입과 이들간의 관계 타입을 이용해 현실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한다.

  • 개체(Entity) ,관계(Relationship), 속성(Attribute)으로 묘사

  • 특정 DBMS를 고려한것 X

  • 다이어 그램으로 표현하며 1대1, 1대N, N대M, 등의 관계 유형을 제한 없이 나타낼 수 있다.

  • 최초에는 개체 관계 속성과 같은 개념들로 구성되었으나 나중에는 일반화 계층 같은 개념들 이 첨가되어 확장된 모델로 발전했다


2. E-R 다이어그램

다이어 그램은 E-R 모델의 기본 아이디어를 이해하기 쉽게 기호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 다이어그램은 실체간의 관계는 물론 조직, 사용자 ,프로그램 ,데이터 등 시스템 내에서 역할을 가진 모든 실체들을 표현한다.

  • 다이어그램은 데이터에 대해 개발자,관리자, 사용들이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뷰들을 하나로 단일화 시킨다.

  • 다이어그램 표기법에는 피터 첸 표기법 , 정보 공학 표기법 ,바커 표기법등이 있다.


E-R 다이어그램 예시

관계타입의 유형

  • 1 : 1 관계(일 대 일)

    •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가 개체 집합 B의 원소 1개와 대응
    • (한명의 교수는 한과목만 강의 하고, 한개의 과목은 한명의 교수에 의해 강의되어진다.)
  • 1 : N 관계(일 대 다)

    •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B의 원소 여러 개와 대응할 수 있고, 개체 집합 B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A의 원소 1개와 대응
    • (한학과에는 여러명의 학생이 있을 수 있고 한학생은 한개의 학과에 소속 된다.)
  • N : M 관계(다 대 다)

    •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B의 원소 여러개와 대응할 수 있고, 개체 집합 B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A의 원소 여러 개와 대응할 수 있음
    • (한명의 학생은 여러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 한 과목은 여러명의 학생에 의해 수강되어 질 수 있다.)
profile
[DATABASE] 비전공자 출신의 개발 도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