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선 EC2라고 하던데, GCP는 Compute Engine? Azure는 Virtual Machines??"
"같은 기능인데 이름만 다른 서비스들이 많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개념인데 이름만 다르게 부르는 서비스가 많다! 그래서 오늘은 AWS, GCP, Azure에서 같은 개념을 가진 용어들을 완전 정복해봤다. 이제 클라우드 삼대장을 넘나드는 클라우드 멀티버스 마스터가 되자! 🌏🚀

🎯 클라우드 기본 개념 (Cloud Basics)

클라우드도 현실 세계처럼 지역(리전), 도시(AZ), 아파트(VPC), 방(서브넷) 같은 개념이 있다!

🏢 클라우드의 기본 구조를 한눈에!

🗺️ (🌏 리전) → 🏢 (🏢 가용 영역 AZ) → 🏠 (🏠 서브넷)

📌 클라우드 꿀팁!
AWS는 중요 서비스 이중화를 위해 리전 내 최소 2개 이상의 AZ를 사용하는 Multi-AZ 배포를 권장해! 대규모 자연재해가 와도 서비스가 살아남는다!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클라우드에서 가상 머신을 빌려 쓰거나, 컨테이너를 운영하거나, 서버 없이 코드만 실행할 수도 있다!

🖥️ 컴퓨팅 서비스 비교

📌 클라우드 꿀팁!
서버리스(Lambda, Functions)는 idle 상태에서 요금이 안 나와서 트래픽이 적은 사이드 프로젝트에 딱! 하지만 실행 시간이 길면 VM이 더 저렴할 수도 있어!

🏗️ 스토리지 & 데이터베이스 (Storage & Database)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은 크게 파일(Object), 블록(Block), 관계형 DB, NoSQL 등으로 나뉜다.

📦 스토리지 비교

🗄️ 데이터베이스 비교

📌 클라우드 꿀팁!
GCP의 BigQuery는 테라바이트급 데이터도 몇 초 만에 분석해! 데이터 분석가들이 가장 좋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야!

🌍 네트워크 & 보안 (Networking & Security)

클라우드 네트워크는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

🔗 네트워크 비교

🔒 보안 & 인증 비교

📌 클라우드 꿀팁!
모든 클라우드가 '최소 권한의 원칙'을 권장해! 필요한 권한만 주면 실수로 S3 버킷을 전체 공개해서 대형 보안 사고 치는 일이 없어!

🤖 AI & 머신러닝 (AI & Machine Learning)

이제 클라우드 회사들은 모두 AI와 머신러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 AI & ML 서비스 비교

📌 클라우드 꿀팁!
AI 서비스는 API로 제공되어 코딩 몇 줄로 최신 AI 기술을 내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어! OpenAI 같은 API도 클라우드 통합이 쉽지!

🛠️ 개발자 도구 (Developer Tools)

클라우드는 개발자를 위한 다양한 도구도 제공한다!

👨‍💻 개발 도구 비교

📌 클라우드 꿀팁!
AWS Lambda, Azure Functions, GCP Cloud Functions 모두 서버리스 컴퓨팅이라 서버 관리 없이 코드만 올리면 돼! 프리 티어도 관대해서 소규모 서비스는 거의 무료로 운영 가능!

🏆 실전 멀티 클라우드 시나리오

이제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이름을 알았으니, 실제 사례를 보자!

📱 스타트업 A사의 클라우드 전략

  • AWS의 경우: EC2에 앱 서버 + RDS(MySQL)에 DB + S3에 이미지 저장 + CloudFront로 이미지 전송 최적화
  • GCP의 경우: Compute Engine에 앱 서버 + Cloud SQL(MySQL)에 DB + Cloud Storage에 이미지 저장 + Cloud CDN으로 이미지 전송 최적화
  • Azure의 경우: Virtual Machines에 앱 서버 + Azure SQL Database에 DB + Blob Storage에 이미지 저장 + Azure CDN으로 이미지 전송 최적화

🌟 대기업 B사의 멀티 클라우드 전략

  • 주 워크로드: AWS에서 EC2 Auto Scaling Group + ELB로 메인 서비스 운영
  • ML/AI 워크로드: GCP의 Vertex AI 사용 (AI 역량 활용)
  • 재해 복구: Azure에 백업 시스템 구축 (지역 다변화)
  • 데이터 분석: BigQuery(GCP)로 대규모 데이터 분석 (가성비 우수)

💡 실전 팁: 클라우드 선택 가이드

  • AWS: 가장 많은 서비스와 사용자 기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강점
  • GCP: 데이터 분석, ML/AI에 강점. BigQuery, Vertex AI가 특히 강력
  •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제품 사용 기업에 최적화. Windows 서버, .NET 앱에 강점

📌 현실 꿀팁!
클라우드별 가격 구조가 달라 같은 서비스도 사용 패턴에 따라 비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실제 워크로드로 테스트해보는 게 제일 정확해!

💭 클라우드 3사의 숨은 특징

각 클라우드 제공업체마다 숨은 특징과 장단점이 있다!

🌟 AWS 특징

  •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은 서비스(200개 이상)를 제공
  • 글로벌 인프라가 가장 넓게 분포(전 세계 25개 리전)
  • Enterprise 고객을 위한 지원과 계약 옵션이 다양함
  • 한번 익히면 다른 클라우드도 쉽게 이해 가능!

🌟 GCP 특징

  • 데이터 처리와 AI에 강점(BigQuery, Vertex AI)
  • 구글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 네트워킹 성능이 뛰어남(구글의 글로벌 백본 활용)
  • Free tier가 관대해서 소규모 프로젝트에 유리

🌟 Azure 특징

  • 마이크로소프트 제품과의 통합이 뛰어남(Office 365, Teams 등)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강점(온프레미스 연계)
  • 엔터프라이즈 계약과 라이선싱 혜택이 많음
  • 윈도우 서버 운영 기업에게 비용 효율적

📌 현실 꿀팁!
대부분의 기업은 실제로 여러 클라우드를 섞어 쓰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채택해! 각 클라우드의 장점을 활용하고 벤더 종속성도 줄일 수 있거든!

🎯 클라우드 용어, 이제 완벽히 이해했어! 🚀

AWS, GCP, Azure에서 같은 개념인데 이름만 다른 서비스들을 한눈에 비교해봤다! 이제 어디서든 "아~ 이게 GCP에선 뭐라고 부르는지 알겠네!" 하고 외칠 수 있다!

왜 클라우드 용어를 알아야 할까?
1. 이직/취업: 다른 회사는 다른 클라우드를 쓸 수 있어!
2. 솔루션 아키텍트: 최적의 솔루션 제안을 위해 여러 클라우드를 비교해야 해!
3. 비용 최적화: 같은 기능도 클라우드마다 가격이 다르니 비교해서 선택!
4. 멀티 클라우드: 요즘은 한 클라우드만 쓰는 기업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

🔹 어떤 클라우드를 써도 겁먹지 말자!
🔹 개념만 알면 멀티 클라우드도 문제없다!

📢 💬 "이제 AWS에서 EC2를 쓰는 게 GCP에서는 Compute Engine인 걸 알았어!"
🔥 "Azure도 개념은 똑같네!"

💬 댓글로 어떤 클라우드를 쓰는지 공유해봐! 🚀
👉 좋아요 & 공유하면 클라우드 마스터 레벨 UP! ⬆️

나만 아는 클라우드 꿀팁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줘! 다 함께 클라우드 마스터가 되자! 🎖️

profile
🐱 도쿄에서 활동 중인 웹 개발자 🇯🇵💻 🧑‍💻 최근에는 요즘IT에서 작가로도 활동 중입니다! 📝 요즘IT 글 모음: https://yozm.wishket.com/magazine/@donghyuk65/

4개의 댓글

화이아와르!! 판타지 애니에서 많이 들을 거 같은 발음이네요 ㅎㅎ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3월 9일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