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Site-to-Site VPN
- AWS VPC와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AWS 서비스이다
- IPSec을 사용하여 AWS VPC와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간 프라이빗 네트워크 구성
VGW (Virtual Private Gateway)
- AWS VPC와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연결 시, AWS VPC의 라우터 역할
- VGW를 이용하여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연결 시,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쪽의 CGW 구성 필요
특징
- VGW는 오직 1개의 AWS VPC와 연결 가능.
- VGW는 여러 개의 온프레미스 라우터와 연결 가능.
- VGW 생성 시 동적 라우팅 사용할 경우, ASN 지정.
CGW (Customer Gateway)
-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의 CGD (Customer Gateway Device) 의 설정값을 VGW에 제공하기 위한 가상 게이트웨이.
특징
- VGW는 CGW에 있는 값들을 참조해 CGD에 연결.
- CGW 또한 동적 라우팅 사용할 경우, ASN 지정.
CGD (Customer Gateway Device)
- Site-to-Site VPN 연결을 위해 온프레미스에 설치된 라우터 등의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VPN Tunnel
- AWS VPC와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암호화된 링크.
특징
- IPSec 사용하여 데이터 암호화 처리.
- 각 VPN Tunnel은 Outside IP (인터넷 연결 목적), Inside IP (내부 통신 목적) 로 구성.
- Site-to-Site VPN 구성 시, 자동으로 HA 목적으로 2개의 VPN Tunnel 생성.
구성도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eae93ce3-d246-42e6-b896-dfe276f2ef98/image.png)
간단한 VPC 구성 후, Site-to-Site VPN 테스트 진행 할 것이며, VPN 터널은 VPN 장비마다 이중화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음.
CGW 생성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cf573052-2065-4278-8a51-127631fb1d5f/image.png)
VPC 콘솔 화면 → 고객 게이트웨이 → 고객 게이트웨이 생성
실제 연결하고자 하는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장비 정보를 입력한다.
- 게이트웨이 장비가 NAT 보다 뒤에 있는 경우라면, IP 주소는 NAT IP를 입력해줘야함.
- AWS ACM (Private CA) 를 발급 받은 경우라면, IP의 정보는 필요하지 않고 인증서 ARN 정보가 필요.
VGW 생성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58e1e400-80b0-43dd-a071-38512dc4650a/image.png)
VPC 콘솔 화면 → 가상 프라이빗 게이트웨이 → 가상 프라이빗 게이트웨이 생성
이름 및 ASN을 지정합니다. (기본 VGW의 ASN은 64512)
Site to Site VPN 연결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dd6fd54d-cd42-4540-849d-9a1d9d21c18f/image.png)
이름 태그, VGW 및 CGW 설정을 한다.
- 가상 프라이빗 게이트웨이 : 생성한 VGW
- 고객 게이트웨이 : 생성한 CGW
- 로컬 IPv4 네트워크 CIDR :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CIDR
- 원격 IPv4 네트워크 CIDR : AWS VPC CIDR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764820d5-469f-45ac-82b8-322aa5f895d2/image.png)
앞의 용어 정리에서 설명되어 있듯이, HA 목적으로 기본적으로 VPN Tunnel이 2개로 생성된 모습
CGD 설정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7b2736be-fc9d-4137-bb5a-3edba0739ff7/image.png)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장비에 맞게 설정하여 파일을 다운로드를 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f2ce87b2-5bea-4535-9ad4-b524dd937efd/image.png)
위의 사진과 같이 텍스트 파일 혹은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가 되고 각 장비의 설정에 맞게 값을 추가해주면 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ongs52/post/81511dca-f639-4432-8182-5e00dc7d1146/image.png)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올바른 설정을 했다면 위의 사진과 같이 Status가 Up으로 변경이 될 것이다.
AWS에서 VPN 관련한 작업이 자주 있어 이중화를 지원하는 VPN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