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블로그, 왜 하는건가요?

don9wan·2025년 8월 7일
0

협업과 통합

목록 보기
13/13

I. 서론 : 함께 성장해요. 기술블로그.

1. 안녕하세요.

  • 체리픽 팀에서 PM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완입니다. 저희 팀은 2024년 2학기부터 2025년 2학기까지, 총 3학기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IT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게 됩니다. 현재 2024년 2학기엔 아이디어 기획과 함께, 본격적인 개발 진행을 앞두고 개인별 개발스택을 학습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기술블로그 운영을 제안드렸고, 팀원분들께서 흔쾌히 수락해주셨습니다. 블로그 운영을 제안한 사람으로서 첫 글의 주제에 대해 고민했고, 그 결과 기술블로그는 왜 하는 것이며,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주제로 글을 작성하는 것이 유익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오늘은 이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2. 팀 역량 향상의 중요성. 그리고 기술 블로그.

  • 먼저 PM 역할을 수행하는 저의 관점에선 팀원들의 잠재된 역량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팀 역량이 제품 개발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팀 역량이 부족하면 제품에 기술부채가 축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한 제품의 오류는 사용자 경험과 비즈니스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저 역시도 PM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면 제품 자체가 어려움에 빠질 수 있습니다.
  • 반대로 팀의 전체적인 역량(지식) 수준을 올리면 올릴수록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더러, 고객에 온전히 집중하여 가설과 검증 수행을 반복해 제품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제품의 성공과 그 과정에서의 성취 수준이 우리의 커리어에도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그래서 개인을 넘어 팀 역량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의 제품은 우리 팀의 산출물이니까요. 그래서 이러한 팀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모든 팀원이 같이 운영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술블로그를 제안 드렸습니다.

3. 실패에 대한 두려움.

  • 앞서 실패에 대해 언급했다보니, 프로젝트를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비춰질까 염려되어 추가 내용을 적습니다. 크고 작은 실패를 경험할 것은 이미 정해진 사실입니다. 시니어 개발자도 실수하고, 실패하잖아요. 더욱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스타트업 씬에선 도전은 칭찬 받고, 실패는 당연한 것으로 취급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1) 실패로부터 빠르게 학습해서 제품을 성공시키는 것 (2) 그 과정에서 가볍지 않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다음은 기술블로그 운영이 팀원(개인) 측면에선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가볍게 생각해본 내용인데요. 별 내용은 아니고 다른 아티클에도 자주 나오는 내용들이에요. 블로그의 핵심인 '학습-작성-공유' 활동에 동기부여가 됐으면 좋겠고, 나중에 이력서 제출하실 때 우리 기술블로그 링크를 첨부하게 되셨으면 합니다. 이게 이 글을 쓰게 된 가장 큰 이유입니다.

II. 본론 : 중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성장한 우리의 생생한 기록들.

1. 정보의 검증 능력.

기술블로그 활동을 통해, 내가 가진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왜냐하면, 내가 가진 잘못된 지식을 수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내가 타인에게 공유한 지식 중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물론 타인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사실도 중요하겠지만, 그 이전에 내가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도 중요합니다. 해당 사실을 모르고 코드를 작성할 경우 개발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 심지어 당시엔 정상작동을 하다가 미래에 예고 없이 버그를 창출하기도 합니다.
  • 하지만 우리가 개발 관련 주제의 글을 작성해 나간다면, 정확성이 의심되는 정보에 대해 찾아보며 내가 가진 잘못된 지식을 바로 잡을 수 있습니다. 나아가, 글의 완결을 위해 2% 부족한 정보를 찾아 나가며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또한 자연스럽게 행해집니다. 즉, 유익한 정보 공유를 위해 내가 가진 정보의 수정과 확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블로그는 내가 가진 정보의 정확도를 한 번 더 의심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2. 정보의 표현 능력.

기술블로그 활동을 통해, 내가 가진 정보를 더 쉽게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 왜냐하면, 블로그의 글은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타인에게 쉽게 이해되는 글을 작성하기 위해선 정보의 구조와 가독성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것이 개발자인 우리에게 왜 중요할까요? 지금은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잦게 수행하기에 내가 알아볼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해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특정 집단의 팀원으로 합류해 코드를 작성하는 순간부턴, 내가 알아볼 수 있는 것만으론 부족합니다. 내가 휴가를 가도 나의 코드를 다루어 줄 팀원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코드의 구조와 가독성이 충족되어 있지 않다면, 팀원의 코드를 읽고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많은 리소스를 투자해야 합니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협업 환경에선 비일비재하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내가 과거에 작성했던 코드도 몇 주 뒤에 보면, 어떤 목적으로 작성한 코드인지 잊어버릴 때도 많습니다. 제 얘깁니다.
  • 글쓰기와 개발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내가 작성한 코드(글)은 누군가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수정될 필요성을 가집니다. 아울러 코드를 넘어 개발문서를 작성할 때도, 메신저 툴에서 일상적인 업무 내용을 주고 받을 때에도, 글쓰기 능력은 나와 나의 팀원의 시간을 아껴줄 수 있습니다. 우리에겐 정보의 직관적인 구조와 가독성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블로그는 내가 가진 정보를 남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전달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3. 중장기 프로젝트 성장 일기.

기술블로그 활동을 통해, 내가 크게 성장했다는 사실을 간단하게 입증할 수 있습니다.

  • 왜냐하면 우리는 중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크게 성장할 것이며, 이 과정을 블로그에 기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먼저, 본인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제 운영을 지속해봤던 신입 개발자는 취업 시장에서 많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고객에게 전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안정적인 운영을 필요로 하는 중장기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소프트웨어의 구조 설계와 코드 작성의 기준을 가까운 미래가 아닌 먼 미래로 설정하게 됩니다. 장기적 관점에선 그것이 오히려 유지보수(코드 수정) 비용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이 과정에서 클린 아키텍처, 클린 코드, 개발 컨벤션, 예외 처리, 테스트 등 현업에서 중요시하는 개념들이 필요한 이유를 자연스럽게 체감할 수 있게 됩니다. 저는 이런 내용을 학습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했던 스토리를 블로그에 기록해서 경쟁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비운영 프로젝트의 가치가 낮다는 것이 아닙니다. 운영을 하기 이전에 충분한 구현 경험이 선행돼야 하니까요. 제가 리서치를 통해 알아낸 중요한 메세지는 소프트웨어를 실제 운영해보면 실무에서 중요시되는 많은 가치에 비교적 쉽게 공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성장한 사실이 있다면 그 사실을 효과적으로 입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제품을 만들어도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면 적절한 보상을 받기 어려우니까요. 저는 취업시장에 있어 제 자신을 하나의 제품이라고 생각하곤 하는데요. (여러분은 이런 자극적인 생각하지 마요..) 제품은 많은 대체재 중 뚜렷한 차별성을 가지고 있어야 선택 받기 쉽고, 이런 특성은 취업시장에서의 채용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본인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 단계까지 가져가 - 유지보수를 위한 코드에 대해 깊게 고민해본 신입 개발자, PM은 시장에 그리 많지 않고, 그러한 경험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정리해둔 사람은 더더욱 보기 드뭅니다. 이번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많은 성장을 이뤄내시고, 일관성 있는 성장 스토리를 체계적으로 기록하셔서 향후 본인의 커리어 시작에 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블로그는 나의 성장 사실을 효과적으로 입증할 것이며, 향후 커리어 시작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II. 결론 : 재밌는거 많이 공유해주세요!

  1. 함께 성장하기 위해 기술블로그를 운영한다.
  2. 해당 활동을 통해, 개발자로서 정보의 검증과 표현에 능숙해질 수 있다.
  3. 해당 활동을 통해, 중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성장했던 본인의 스토리를 간단하게 입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블로그 활동은, 본인의 역량 향상과 - 일관성 있는 포트폴리오 도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profile
create services that help people make better choices with less tim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