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시작 전에 딱 한 번만 입력하면 됩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데스크탑 전체 파일과 폴더를 세상에 공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프로젝트 폴더에서 입력해야 합니다!!
저장 명령어가 2개인 이유?
git add 파일명 : 저장하기 전 파일을 지정하기
git commit -m "메세지 작성" : 실제로 저장하는 명령어
레포지토리를 만든 사람이 협력자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팀장)
gitgun 레포지토리 -> settings -> collaborators -> add people 클릭
팀원들의 username 혹은 email로 추가 => 팀원들이 초대를 수락해야 함
레포지토리에 올라온 코드를 복사해오기 - git clone
- github 레포지토리에서 <>code 버튼을 클릭하여 github 주소를 복사합니다.
- 코드를 작성할 폴더를 만들어줍니다.
- vs code 에서 해당 폴더를 열어 줍니다.
- git clone <github 주소> .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팀원도 코드 변경하고 github 에 올리기
- 코드 수정하기
- 코드 저장 명령어 실행 - git add . & git commit -m "메세지"
- git push oirign 브랜치명 (main 추천)
다른 사람이 변경한 코드 가져오기 - git pull
- 코드 수정 후 git push origin main 브랜치명 (main 추천)
- git pull 을 먼저 하라는 에러 발생 시 git pull origin 브랜치명
- 터미널에 git config pull.rebase false 명령어 입력 후
- git pull origin main 명령어 입력
충돌이 발생하면 아래 화면처럼 어느 부분에서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알려줍니다!
당황하지 않고 코드를 수동으로 변경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해준 뒤 다시 푸시하시면 됩니다.
- 코드 수정
- 코드 저장 명령어 실행 - git add . & git commit -m "메세지"
- git branch origin 브랜치명 (main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