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ble, Data Type

Minjeong Bak·2021년 9월 13일
0

JAVASCRIPT/Node.js

목록 보기
1/3

variable(변수)

  • let
    업데이트 가능, 필요할 때만 사용.
  • const
    상수(constant), 값이 바뀔 수 없음.
  • var
    잘 사용하지 않음, 실수로 값을 업데이트해도 알아차릴 수 없는 단점 존재.

많은 사람들이 const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업데이트를 하고싶다면 let을 사용한다.

letconstvar
재선언XXO
재할당OXO

camelCase

  • 대소문자 구문
    - 변수이름, 함수이름, 연산자 모두 대소문자 구분함. myName과 MyName은 다른 변수이다.

  • 변수 이름을 정할 때, 첫 번째 문자는 반드시 글자나 밑줄(_), 달러기호($)중 하나

  • 두 번째 문자부터는 글자, 밑줄, 달러, 숫자 중에서 자유롭게 변수이름, 함수이름 등 camelCase(카멜케이스) 방식으로 쓸 것.

기본타입(Primitive Type)

Number

1, 2, 3, 4, 5 …
integer
: full number(정수)

1.5
float

let myNumber1 = 0;
let myNumber2 = 1;
let myNumber3 = 500;
let myNumber4 = 10000;

console.log(myNumber1)
console.log(myNumber3)
console.log(myNumber4)
console.log(myNumber2)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연산자(operation)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7%2)
//나머지값 구하기

String

"text"
'text'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둘 다 사용 가능하며 섞어서는 사용할 수 없음

//문자열의 총 길이 구하기

console.log(
  "The length of pepsi is ",
  'pepsi'.length
  )

  console.log(
    "The length of pepsi is " + 'pepsi'.length
  )

Boolean

  • true 참, 1, 켜져있다(on)
  • false 거짓, 0, 꺼져있다(off)

Undefined

  • 변수는 존재하나 정의되지 않음
  • 공간은 있는데 값이 들어가지 않음
  • 어떤 variable이 메모리에는 있는데 값이 없는 것
  • variable이 메모리에 만들어 졌지만, 컴퓨터가 이 variable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지만 값이 없는 것

Null

아무것도없다(값이 없다), "비어있음(nothing)"

  • 변수에 아무것도 없으며 절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음
  • variable안에 어떤 것이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쓰는 것
  • 자바스크립트에게 여기엔 값이 없다는 것을 알려줄 때
  • "비어있어요"를 의도적으로 표현

참조타입(Reference Type)

Object

  • 값을 구분하기 위해서 object 사용
  • 객체를 생성할 때는 {} 안에 key와 value를 쌍으로 묶어서 생성
  • key값이 여러개일 때는 쉼표(,)로 구분
  • object값 추가, 수정 가능
const player = {
  name: "mini",
  points: 10,
  fat: true,
}
// player라는 object의 {property}
// name, points, fat -> element

console.log(player.name);
//Dot Notation
// - 영∙숫자 '_','$'만 사용 가능
// - 변수 포함X
//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console.log(player["name"]);
//Bracket Notation
// - 문자열 or 문자열을 참조하는 변수여야 함
// - 숫자로 시작하는 변수, 공백 및 문자열 사용 가능

player.fat = false
player.lastName = "potato";

console.log(player);
  //fat: false,
  //lastName: "potato",
  //name: "mini",
  //points: 10

Array

값이 일열로 모여있는 배열(데이터를 나열하기만 함), 값을 리스트로 정리

const variable = [0, 1, 2, 3, 4, 5]
//대괄호, 배열 안에 이루어진 것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
//배열 순서(index): 앞에있는 요소부터 0,1,2 ...

console.log(variable[4])
//숫자 3을 호출하고 싶을 때
//variable[4] 의 '[4]'는 index 값이라 할 수 있다.

배열요소 수정

const variable = [0, 1, 2, 3, 4, 5]

variable[2] = 30;
console.log(variable) //[0, 1, 30, 3, 4, 5]

배열요소 추가

push : array 끝에 item을 하나 더 추가함

const variable = [0, 1, 2, 3, 4, 5]

variable.push("...")
console.log(variable) //[0, 1, 2, 3, 4, 5, "..."]

배열요소 삭제

pop : 배열 뒷부분 삭제
shift : 배열 앞부분 삭제

const variable = [0, 1, 2, 3, 4, 5]

variable.pop() //[0, 1, 2, 3, 4]
variable.shift() //[1, 2, 3, 4, 5]

중첩배열

const variable = [0, [1, 2, 3], 4, 5]
//index 0: 0
//index 1: [1, 2, 3]
//index 2: 4
//index 3: 5

console.log(variable[1][1]) // 2

//중첩배열 호출
//variable[1]의 요소 2 값을 구하고 싶을 때, 순차나열 

배열의 길이와 배열의 index를 이용하여 배열의 가장 마지막 요소에 접근하는 법

const variable = [0, [1, 2, 3], 4, 5]

console.log(variable[variable.length - 1]) //3

//variable.length = 4
//index 순서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구한 길이에서 -1을 해줌.
//0, 1, 2, 3

Function

function 함수이름 () {함수 내용(함수가 담당하는 기능)}

  • 어떤 코드를 캡슐화(encapsulate)해서 실행을 여러 번 할 수 있게 하는 것
  • 여러가지 일을 같은 코드로 하기 위함
function add(num) {
  body;
}
// function의 {} 중괄호를 body라고 함.

input

function sayHello (name) {
  return 'Hello, ' + name + '!'
}
//(name) -> 인자, 파라미터(parameter)

let greeting = sayHello('minjeong') //파라미터 자리에 입력되어있는 값을 argument

console.log(greeting)

//함수를 처음 선언할 때 input자리에 넣어주는 것을 parameter
//함수를 호출할 때 넣어주는 것을 argument

return

  • 함수의 output
  • 반환하는 결과물
  • 변수에 할당 가능
  • 한번 return하면 function은 끝남
const calculator = {
  plus: function (a, b) {
  return a + b;
  console.log("hello!");
}
// hello 출력안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