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사람들이 const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업데이트를 하고싶다면 let을 사용한다.
| let | const | var | |
|---|---|---|---|
| 재선언 | X | X | O |
| 재할당 | O | X | O |
대소문자 구문
- 변수이름, 함수이름, 연산자 모두 대소문자 구분함. myName과 MyName은 다른 변수이다.
변수 이름을 정할 때, 첫 번째 문자는 반드시 글자나 밑줄(_), 달러기호($)중 하나
두 번째 문자부터는 글자, 밑줄, 달러, 숫자 중에서 자유롭게 변수이름, 함수이름 등 camelCase(카멜케이스) 방식으로 쓸 것.
1, 2, 3, 4, 5 …
integer
: full number(정수)
1.5
float
let myNumber1 = 0;
let myNumber2 = 1;
let myNumber3 = 500;
let myNumber4 = 10000;
console.log(myNumber1)
console.log(myNumber3)
console.log(myNumber4)
console.log(myNumber2)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연산자(operation)
console.log(myNumber3 % myNumber4)
console.log(7%2)
//나머지값 구하기
"text"
'text'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둘 다 사용 가능하며 섞어서는 사용할 수 없음
//문자열의 총 길이 구하기
console.log(
"The length of pepsi is ",
'pepsi'.length
)
console.log(
"The length of pepsi is " + 'pepsi'.length
)
아무것도없다(값이 없다), "비어있음(nothing)"
const player = {
name: "mini",
points: 10,
fat: true,
}
// player라는 object의 {property}
// name, points, fat -> element
console.log(player.name);
//Dot Notation
// - 영∙숫자 '_','$'만 사용 가능
// - 변수 포함X
//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console.log(player["name"]);
//Bracket Notation
// - 문자열 or 문자열을 참조하는 변수여야 함
// - 숫자로 시작하는 변수, 공백 및 문자열 사용 가능
player.fat = false
player.lastName = "potato";
console.log(player);
//fat: false,
//lastName: "potato",
//name: "mini",
//points: 10
값이 일열로 모여있는 배열(데이터를 나열하기만 함), 값을 리스트로 정리
const variable = [0, 1, 2, 3, 4, 5]
//대괄호, 배열 안에 이루어진 것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
//배열 순서(index): 앞에있는 요소부터 0,1,2 ...
console.log(variable[4])
//숫자 3을 호출하고 싶을 때
//variable[4] 의 '[4]'는 index 값이라 할 수 있다.
const variable = [0, 1, 2, 3, 4, 5]
variable[2] = 30;
console.log(variable) //[0, 1, 30, 3, 4, 5]
push : array 끝에 item을 하나 더 추가함
const variable = [0, 1, 2, 3, 4, 5]
variable.push("...")
console.log(variable) //[0, 1, 2, 3, 4, 5, "..."]
pop : 배열 뒷부분 삭제
shift : 배열 앞부분 삭제
const variable = [0, 1, 2, 3, 4, 5]
variable.pop() //[0, 1, 2, 3, 4]
variable.shift() //[1, 2, 3, 4, 5]
const variable = [0, [1, 2, 3], 4, 5]
//index 0: 0
//index 1: [1, 2, 3]
//index 2: 4
//index 3: 5
console.log(variable[1][1]) // 2
//중첩배열 호출
//variable[1]의 요소 2 값을 구하고 싶을 때, 순차나열
const variable = [0, [1, 2, 3], 4, 5]
console.log(variable[variable.length - 1]) //3
//variable.length = 4
//index 순서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구한 길이에서 -1을 해줌.
//0, 1, 2, 3
function 함수이름 () {함수 내용(함수가 담당하는 기능)}
function add(num) {
body;
}
// function의 {} 중괄호를 body라고 함.
function sayHello (name) {
return 'Hello, ' + name + '!'
}
//(name) -> 인자, 파라미터(parameter)
let greeting = sayHello('minjeong') //파라미터 자리에 입력되어있는 값을 argument
console.log(greeting)
//함수를 처음 선언할 때 input자리에 넣어주는 것을 parameter
//함수를 호출할 때 넣어주는 것을 argument
const calculator = {
plus: function (a, b) {
return a + b;
console.log("hello!");
}
// hello 출력안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