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26
4
let N = require('fs').readFileSync(0).toString();
let sumN;
let firstN = N;
let count = 0;
if (N < 10) N = '0' + N[0]; //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은 경우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듦
while (true) {
sumN = Number(N[0]) + Number(N[1]); // 각 자리 숫자를 더함 (문자열 숫자로 변환)
sumN = sumN.toString(); // 다시 문자로 변환 (분리 쉽게 하기 위해 문자로 변환함)
if (sumN < 10) sumN = '0' + sumN[0]; // 여기서 10보다 작은 경우 다시 앞에 0을 붙여 줌
N = N[1] + sumN[1]; // 주어진 수의 오른쪽 자리 수 +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
count += 1; // 과정 끝나면 count 1 증가
if (Number(N) === Number(firstN)) { // N과 처음 입력받은 수가 같아지면 멈춤
break;
}
}
console.log(count); // 사이클 길이 출력
입력 범위가 0에서 99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풀이다. 풀긴 풀었는데 코드가 상당히 더러운 것 같아서 다 풀고 다른 분들의 코드도 참고해 봤는데 확실히 더러웠다....
나중에 자바스크립트가 조금 더 익숙해졌을 때 어떻게 줄일 수 있을지 스스로 생각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