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단, N은 홀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000을 넘지 않는다.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중앙값을 출력한다.
셋째 줄에는 최빈값을 출력한다.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최빈값 중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출력한다.
넷째 줄에는 범위를 출력한다.
5
1
3
8
-2
2
2
2
1
10
1
4000
4000
4000
4000
0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0).toString().split('\n').map(Number);
const N = input[0];
let numbers = [];
for (let i = 1; i <= N; i++) {
numbers.push(input[i]); // [1, 3, 8, -2, 2]
}
// 중앙값
numbers.sort((a, b) => a - b); // 오름차순 정렬 [-2, 1, 2, 3, 8]
const median = numbers[Math.floor(N / 2)]; // 중앙값 (Math.floor() 함수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무조건 내림
// 평균
let sum = 0;
for (let i = 0; i < numbers.length; i++) {
sum += numbers[i];
}
const average = Math.round(sum / N);
// 최빈값
let map = {}; // 객체
let modeArr = []; // 최빈값 담을 배열
let mode = 0; // 최종 최빈값
// console.log(map[number]) 출력 결과 => 1\n1\n1\n1\n1
for (let number of numbers) {
if (map[number]) map[number] += 1;
else map[number] = 1;
}
// console.log(map) 출력 결과 => { '1': 1, '2': 1, '3': 1, '8': 1, '-2': 1 }
// key 값이 아닌 map의 value 값을 뽑음 (제일 자주 나타나는 수를 알아야 하니까
let max = Math.max(...Object.values(map));
// max랑 map의 key값이 같으면 최빈값 담는 배열에 push
for (let key in map) {
if (max === map[key]) modeArr.push(key);
}
// 만약 최빈값이 1개가 아니라면
if (modeArr.length > 1) {
modeArr = modeArr.sort((a, b) => a - b); // 오름차순 정렬
mode = modeArr[1]; //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최종 최빈값 변수에 저장
} else mode = modeArr[0]; // 최빈값이 1개라면 배열의 첫 번째를 담아 주면 됨
// 범위
const range = numbers[N - 1] - numbers[0];
console.log(`${average}\n${median}\n${mode}\n${range}`);
처음에는 정답 비율이 25퍼센트가 겨우 넘는 것에 비해 굉장히 간편하고 쉬운 문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난이도의 중심에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그게 바로 최빈값이다.
반복문을 사용해 풀어 보려고 했으나 코드가 심각하게 복잡하고 더러워지는 것을 보면서 구글링을 시도했다. 😅 많은 분들의 코드를 읽어 본 결과 코드의 핵심은 map 객체에 있었는데, key는 입력받은 수, value에는 개수를 넣으면서 확실히 코드도 보기 간편해졌고 정답에도 손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때에 맞는 객체 사용이 얼마나 중요한 건지 알게 된 문제라서 정리해 둔다. 🧍♀️....
map을 사용할 때 map[key]를 사용하는 것은 바른 방법이 아니라고 한다. set과 get를 사용하는 방법을 확실히 익혀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