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수형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https://wavez.github.io/react-hooks-lifecycle/ 생명주기란? React에서 컴포넌트는 생명주기를 가질 수 있다. 생명주기란, 컴포넌트의 생성 ➡️ 렌더링 ➡️ 소멸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함수형
SCSS를 설치하면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은 직관적이고 간단하다. $ 기호를 앞에 적어주고 변수명을 적고, 내가 원하는 값을 적어주면 된다.같은 값이 여러번 반복될 때 일일이 그 값을 다 적어주는 것이 아니라 변수로 지정하여 변수명을 적어줌으로써 같은 값이 사
Styled-Components는 React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CSS-in-JS 라이브러리이다.Styled-Components를 사용하면 CDD(Component Driven Development)를 할 수 있다.CDD (Component Driven Develop

강의에서 배운 css 관련 툴 3가지를 npm trend를 통해 비교해보았다. 국내에서는 Tailwind CSS보다 Styled components를 더 많이 쓰는 것 같긴 한데, 일단 npm trend에서는 Tailwind CSS는 상향세인 반면 Styled comp
React 내부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state와 props 리액트에서 상태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은 컴포넌트의 state와 props를 사용하는 것이다.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props는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되는
: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합치는 것.파일의 수를 줄여 HTTP 요청의 수를 줄임 ➡️ 속도 향상코드의 압축 ➡️ 불필요한 공백, 주석의 삭제 ➡️파일 크기 축소사용되지 않는 코드 제거 ➡️ 최적화vite의 경우, Rollup을, CRA는 Webpack을 사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