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 js 독학 삽질 일기 Day 9: 90퍼센트 이상이 깃허브 삽질

Dorito·2022년 9월 23일
0

NestJS

목록 보기
9/10

Github

파일명 변경 대소문자 인식안하는 문제 해결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7683458/how-do-i-commit-case-sensitive-only-filename-changes-in-git

$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명령어로 세팅해주면 된다.

언어문제 해결

Git이라 치면 독어 뜨고
git이라 치면 영어 뜸...

vi ~/.zshrc

$ alias git='LANG=en_GB git'
$ alias Git='LANG=en_GB git'

깃허브 터미널 언어 오류도 났는데

이건 vsc 껏다 키니까 해결됐다.

PR 리뷰 이후 머지..

이후 git fetch origin 하면 됨

다른 브랜치에 push함.. (delete api를 Create 브랜치로 넣음)

https://gmlwjd9405.github.io/2018/05/25/git-add-cancle.html
보고 했다.

하..

왜 push 빠꾸가 안되지..?

git reset --hard 잘못함 ^^

read 브랜치 잘못해서 한 커밋 앞으로 가고 싹다 날렸다 ^^ 와우! 처음부터 다시했다
복습하고 좋다 ㅎㅎ

git revert

아예 없던 셈으로 치는 것
같은 파일에 ㄷ번 리버트함 ㅎㅎ

개념

TypeScript as

https://www.typescriptlang.org/docs/handbook/2/everyday-types.html#type-assertions

TDD (test driven development)

Mocking


https://inpa.tistory.com/entry/JEST-%F0%9F%93%9A-%EB%AA%A8%ED%82%B9-mocking-jestfn-jestspyOn

TDD는 어떤 상황에서 해야할까 출처

만약 어떤 부분에 대한 코딩을 여러번 해봤고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뻔하다면 TDD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TDD를 했을 때 얻는 것이 적다면 TDD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다면 TDD는 어떤 상황에서 해야할까?

  1. 처음해보는 프로그램 주제
    -나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2. 고객의 요구조건이 바뀔 수 있는 프로젝트
  • 외부적인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1. 개발하는 중에 코드를 많이 바꿔야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
  2. 내가 개발하고 나서 이 코드를 누가 유지보수할지 모르는 경우
  • 외부적인 불확실성이 즉, 불확실성이 높을 때 TDD를 하면 된다.
  • TDD의 효과
    모든 애자일의 실천법은 피드백과 협력을 동시에 증진시킨다.

디버깅 시간의 단축

  • 이는 유닛 테스팅을 하는 이점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데이터가 잘못 나온다면 DB의 문제인지, 비즈니스 레이어의 문제인지 UI의 문제인지 실제 모든 레이러들을 전부 디버깅 해야하지만, TDD의 경우 자동화 된 유닛테스팅을 전재하므로 특정 버그를 손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구현

Pr 리뷰..

깃허브 링크

Entity로 반환하는걸 dto로 바꾸고 끊임없이 깃허브와 싸웠다.

시간의 90퍼 이상을 깃허브로 하지말아야 할 짓을 하고 깃허브때문에 다 날렸따.
ㅠ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