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메서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어떤 종류의 동작을 수행할지를 지정하는 방법이며,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GET: GET 요청은 지정된 리소스의 표시를 요청하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한 URL에 포함된 쿼리 문자열과 함께 받아옵니다.
이 메서드는 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POST: 지정된 리소스에 새로운 데이터를 제출합니다. 주로 웹 서버에 어떤 정보를 보내거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PUT: 지정된 리소스를 요청 페이로드로 교체합니다. 주어진 URL에 해당하는 리소스가 없는 경우 새로 생성하고, 이미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데이터로 교체합니다.
-DELETE: 지정된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주어진 URL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PATCH: 리소스의 부분적인 수정을 요청합니다. 리소스의 일부를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HEAD: GET 메서드와 유사하지만, 서버에서 헤더 정보만을 반환하고 본문은 반환하지 않습니다.
리소스가 존재하는지, 서버가 응답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OPTIONS: 서버에서 지원되는 메서드의 목록을 요청합니다. 서버가 지원하는 메서드를 확인하고,
특정 리소스에 대해 어떤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CONNECT: 웹 서버에 프록시 기능을 요청할 때 사용
-TRACE: 원격지 서버에 Loopback 메세지를 호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2.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CORS는 출처가 다른 자원들을 공유한다는 뜻으로, 한 출처에 있는 자원에서 다른 출처에 있는 자원에 접근하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CORS policy 오류 메시지는 CORS 정책을 위반할 때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동일 출처 요청만 자유롭게 요청이 가능하며 동일 출처 정책(Same-Origin Policy)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기준을 완화하여 다른 출처 요청도 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만든 체제가 다른 출처 정책(Cross-Origin Policy)입니다.
웹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출처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사용자의 보안을 보장하면서도 필요한 리소스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