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ET, POST의 개념과 함께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1. GET 메소드
개념:
GET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입니다.
특징:
-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요청합니다.
- 데이터 크기에 제한이 있습니다(URL 길이 제한으로 인해).
- 북마크가 가능합니다.
-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습니다.
- 캐싱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흐름:
1. 클라이언트가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요청을 보냅니다.
예: http://example.com/search?query=OpenAI
-
서버는 URL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합니다.
-
서버는 요청된 데이터를 응답으로 보냅니다.
-
클라이언트(브라우저)는 받은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
POST 메소드
개념:
POST는 서버에 데이터를 제출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입니다.
특징:
- 요청 본문(bod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합니다.
- 데이터 크기에 제한이 없습니다.
- 북마크할 수 없습니다.
-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지 않습니다.
- 캐싱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흐름:
1. 클라이언트가 요청 본문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서버에 전송합니다.
예:
POST /submit HTTP/1.1
Host: example.com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username=johndoe&password=secret
-
서버는 요청 본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처리합니다.
-
서버는 처리 결과를 응답으로 보냅니다.
-
클라이언트는 받은 응답을 처리합니다 (예: 새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주요 차이점:
1. 보안: POST가 GET보다 더 안전합니다. GET은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만, POST는 본문에 데이터를 숨깁니다.
-
데이터 크기: GET은 URL 길이 제한으로 인해 데이터 크기에 제한이 있지만, POST는 제한이 없습니다.
-
용도: GET은 주로 데이터 조회에, POST는 데이터 제출이나 수정에 사용됩니다.
-
멱등성: GET은 멱등(여러 번 호출해도 결과가 같음)하지만, POST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 사용 예:
- GET: 검색, 상품 목록 조회 등
- POST: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글 작성 등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OSI 7계층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해주세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의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표준화된 모델입니다.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역할: 실제 물리적 연결과 전기적 신호를 처리합니다.
- 장비: 케이블, 리피터, 허브
- 데이터 단위: 비트(Bit)
- 예시: 전기 신호, 광신호 등의 전송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역할: 노드 간 데이터 전송, 오류 검출 및 흐름 제어를 담당합니다.
- 프로토콜: Ethernet, PPP
- 장비: 스위치, 브리지
- 데이터 단위: 프레임(Frame)
- 예시: MAC 주소를 이용한 통신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역할: 패킷의 경로 설정(라우팅)과 논리 주소 지정을 담당합니다.
- 프로토콜: IP, ICMP
- 장비: 라우터
- 데이터 단위: 패킷(Packet)
- 예시: IP 주소를 이용한 라우팅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역할: 종단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 프로토콜: TCP, UDP
- 데이터 단위: 세그먼트(Segment)
- 예시: 포트 번호를 이용한 프로세스 간 통신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역할: 통신 세션을 구성하고 관리, 동기화합니다.
- 프로토콜: NetBIOS, RPC
- 예시: 세션 설정, 유지, 종료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역할: 데이터의 형식 변환, 암호화, 압축을 담당합니다.
- 프로토콜: SSL, TLS
- 예시: JPEG to PNG 변환, 암호화/복호화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역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형식 등 응용 프로그램 관련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프로토콜: HTTP, FTP, SMTP, DNS
- 예시: 웹 브라우징, 이메일 송수신
각 계층의 주요 특징:
1.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2. 계층 간 통신은 인접한 계층끼리만 이루어집니다.
3. 한 시스템의 계층 n은 다른 시스템의 계층 n과 통신합니다.
OSI 모델의 의의:
- 네트워크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합니다.
- 표준화된 컴포넌트로 인해 다양한 벤더의 제품 간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 네트워크 기술의 개발과 학습을 체계화합니다.
실제로는 TCP/IP 모델이 더 많이 사용되지만,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