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 졸리다. 😅
전날 1시까지하다 더 하면 내일도 비몽사몽하겠다는 걱정에 누웠는데
걱정이 많아서인지 3시에 잤다. 허허;;
다른분들 코드 보면서 하지 말아야지 다짐했던 나 자신과 비교를 해버렸다!
근데 맘을 좀 다 잡으니 괜찮아졌다. 시작점이 각자 다르니깐.
전공 하신분들은 몇년동안 열심히 배운걸 4개월 그것도 찔끔찔끔 공부한걸로
비교하는게 실례다. 중요한건 동기 부여되어서 더욱 열심히 해야한다는 걸 잊지말자.
지금 도움이 안되면 나중에 도움이 되면 되는 거니깐.
미션은 다풀어 제출은 했는데 진짜 처음에 했던 코드는 더러워 죽는줄 알았는데 훨씬 깔끔해졌다.
느낀건데 내가 배열 관련 메서드를 잘 못 쓰는것 같다.
문돌특 노가다 수학 풀이 마인드를 고쳐야겠다.
함수 하나가 비정상 작동하는데 이건 내일 고치자 너무 지쳤어!(dec2bin 값이 이상하다) 😅
우리가 사는세상을 모두 1,0 으로 표현가능 하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
우리가 쓰는 코드(c,java,python...)들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컴파일 과정을 거친다.(기계어?)
컴파일 과정 후 엄셈블 되고 링커가 작업을 한다 배웠는데 정확한 무슨일이 벌여 지는지는 모르겠다 학습필요.
우리가 쓴 코드가 컴퓨터가 실행할수 있도록 단계 별로 저레벨언어로 변화한다고 이해하였다.
실수 표현 은 1/2=0.5, 1/4=0.25, 1/8=0.125 ... 이런식으로 2배수 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유로 실수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round(반올림)을 통해 오류를 잡을 수도 있고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little eddian vs big eddian
[x] byteadder 추가구현사항(길이기 다를경우)를 혼자 해보자
[x] dec2binAdd2dec 를 혼자 해보자
[ ] lsb msb 장단점을 찾아보자
[ ] node.js 입출력 모듈코드의 의미 숙지하기
[ ] export, import 사용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