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p 파일을 만들고 아파치 웹서버를 이용해서 php파일을 실행해보자
htdocs
폴더가 FTP프로그램을 통해 닷홈에 올릴 때 html
폴더와 같다고 보면된다.
http://localhost를 통해서 보는 저 페이지는
바로 dashboard
폴더 안에 있는 index.html
파일인 것이다.
나는 website
라고 내가 작업할 폴더를 하나 만들어 줬다.
그 폴더 안에 또 members
라는 폴더를 만들어주었고, 그 폴더 안에 이제 회원가입을 할 수 있는 회원관리 프로그램을 만들 것이다.
vsCode는 사진 속 위치에서 실행시켜준다.
웹 서버에서 내 파일로 가고 싶을 땐 htdocs
폴더가 localhost
라고 보고, 그 뒤에 차례대로 위치를 적어주면 된다.
http://localhost/website/members/join.php
라고 치면 join.php
을 볼 수 있다.
아파치 웹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php
확장자 파일도 볼 수 있다.
<form>
태그 안에 속성들은 항상 무슨 뜻인지 이해 못하고 적었다. 그냥 속성값을 이해도 하지 못한채 채워넣었다.
그런데 이번에 php를 배우면서 왜 저 속성에 저 값을 넣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action
속성에는 <form>
태그를 실행 시켜줄 php 파일 경로를 적어주는 것이다.
method
속성에는 2가지가 있다.
GET 방식은 눈에 보이고, POST 방식은 내부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무슨 뜻일까? 알아보자!
get 방식은 이런식으로 <form>
태그를 완성하고 전송 했을 때 내가 적은 데이터들이 눈에 다 보인다.
네이버의 검색도 get 방식이다.
post 방식은 내가 적은 데이터들을 보이지 않게 해준다. 회원가입에는 post 방식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주소창에 저렇게 정보가 다 적혀있으면 보안상 좋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