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트에 사용된 개념 및 자료는 ASAC 웹 풀스택 교육에서 일부 참고하였습니다.]
Spring MVC의 계층 구조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역할로 분리하여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이 구조는 주로 프레젠테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액세스 계층으로 나뉜다.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어서 수정과 확장에 용이하다.
클라이언트 요청 → DispatcherServlet → Controller → View → 응답
DispatcherServlet: 모든 HTTP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한다.
Controller: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서비스 계층에서 가져오며, 최종적으로 응답할 뷰를 선택한다.
View (JSP, Thymeleaf 등):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줄 최종 화면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해 HTML을 생성한다.
Controller에서 서비스 계층을 호출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필요한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 액세스 계층을 통해 가져온다.
서비스 계층의 요청을 받아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한다.
DAO (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캡슐화하는 객체로, SQL 쿼리를 실행하고 결과를 매핑하여 반환한다.
Repository: Spring Data JPA와 같은 ORM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경우,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한다.
DB (Database):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DAO는 Data Access Object의 줄임말로, 데이터베이스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CRUD 작업을 수행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create, read, update, delete 메서드를 정의하여 데이터베이스 접근 기능을 구현한다.
public interface UserDao {
void create(User user);
User read(Long id);
void update(User user);
void delete(String userName);
}
@Repository
는 Spring의 데이터 액세스 계층을 담당하는 어노테이션으로, DAO와는 다르게 꼭 모든 CRUD 메서드를 구현할 필요가 없다. 필요한 CRUD 작업만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DAO를 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 접근 메서드를 구현하는 데 유용하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
User get(Long id); // 필요한 메서드만 정의해도 된다.
// add(User user);
// update(User user);
// remove(User us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