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글은 모두 인프런 실전 JSP (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https://www.inflearn.com/course/%EC%8B%A4%EC%A0%84-jsp_renew/dashboard에 출처를 두고 있습니다. 간략히 정리한 글 입니다.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즉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브라우저가 여러 네트워크들을 자유롭게 이동
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브라우저와 웹서버간 비동기적(실시간 동기화x) 통신을 위한 규약
입니다.
Request
: 브라우저 -> 웹서버로의 요청
Response
: 웹서버 -> 브라우저로의 응답
프로토콜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HTTP
: Hyper Text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주고 받는데 사용 됩니다.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FTP
: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해당 파일의 전송을 시작합니다.
SMTP
, POP
: 이메일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는 웹서버의 IP를 일일히 다 외울 필요가 없습니다.
단순히 영단어로 된 서버의 이름만 알고 있으면 해당 웹 서버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DNS
가 서버의 이름
과 IP
주소를 매핑해주기 때문입니다.
같은 서버내의 다른 페이지는 포트(PORT)
로 구분합니다. 네이버로 예를 들면 네이버 뉴스
와 네이버 신문
은 같은 서버이지만 분명히 다른 페이지 입니다. 이렇듯 같은 서버내에 페이지들을 구분하는데 포트(PORT)
가 사용됩니다.
브라우저와 서버간에는 HTML
문서로 정보를 주고 받습니다.
서버에서는 3가지의 경우가 존재하는데
단순히 일괄된 정적 데이터만 주고 받을경우, HTML
로 단순히 전송만 합니다.
DB
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쿼리문
으로 DB에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를 가져 옵니다.
동적데이터
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입력받은 데이터를 단순히 다시 전송하는것이 아닌 수정하거나, 가공해서 새로운 데이터로 만들어야할 경우 이를 처리 하기위해 Container
로 데이터를 보내 내부에서 처리합니다.
이미 배웠던 내용이지만 환기시키고 잊었던 부분은 다시 배울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