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글은 모두 인프런 실전 JSP (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https://www.inflearn.com/course/%EC%8B%A4%EC%A0%84-jsp_renew/dashboard에 출처를 두고 있습니다. 간략히 정리한 글 입니다.
서블릿의 처리과정은 JSP와 유사합니다. 서블릿도 웹 컨테이너
에서 자동으로 변환해주므로 개발자는 java
프로그램만 개발하면 됩니다.
다만 JSP와 대조적으로 JSP는 <html>java{}</html>
인 반면에 서블릿은 java{<html></html>}
형식으로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자바에서 html을 표현하냐 html에서 자바를 표현하느냐의 차이는 존재합니다.
Project Explorer
우클릭 - New
- Dynamic Web Project
를 클릭하면 프로젝트 생성 창을 띄웁니다.
프로젝트명을 입력후 Next >
를 클릭합니다.
Context root
: 프로젝트의 루트경로, 최상단 경로를 지정합니다. 주소창에 웹 서버만 입력했을때 자동으로 뜨는 페이지입니다.
Content directory
: 웹 컨테이너의 폴더명을 지정합니다.
Java package
: 서블릿을 모아 놓을 패키지명을 지정합니다.
Class name
: 서블릿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URL mappings
: 서블릿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웹서버에서 해당 서블릿을 찾기위한 경로입니다. 해당 서블릿이 만든 페이지는 Context root
/URL mappings
로 웹서버 루트 -> 서블릿으로 계층적입니다.
서블릿은 자바형식으로 여러 메소드들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doGet
과 doPost
요청을 받고 처리하는 메서드 입니다.
매개변수로 HttpServletRequest request
,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가 존재하는데 각각 브라우저에게 요청을받고 브라우저에게 응답하는 메서드를 가진 객체입니다.
PrintWriter
: 응답하기위해 출력메서드를 가진 객체입니다.
response.getWriter
: response
에서 출력 객체를 받아오는 메서드입니다.
out.print("")
형식으로 Html
문서를 작성합니다.
URL이 localhost:8090
/testPjt
/hs
로 되어 있습니다.
웹서버
/프로젝트
/서블릿
형식으로 서블릿은 URL mappings
에서 지정했던 url주소입니다.
학부시절 서블릿에대해 외웠던 적이 있지만 서버내에서 서블릿의 구조가 어떻게 되는지 url이 어떻게 되는지 정확히 알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