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식과 문

홍제섭·2022년 4월 14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2/14
post-thumbnail

22.03.03

5장 표현식과 문

※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것.

5.1 값

값(Value) : 식(표현식, expression)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변수에 할당되는 것.
평가(Evaluate) :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고, 메모리에 2진수 즉, bit의 나열로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값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 가능하다.
변수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변수 할당 순서 : 평가 -> 값 생성 -> 할당
값을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

5.2 리터럴

리터럴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 (notation)

literal : '문자 그대로의, 직역의' 라는 뜻

7

이것은 단순한 아라비아 숫자 7이 아닌 숫자 리터럴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해 숫자 리터럴 7을 코드로 기술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이를 평가해 숫자 값인 7을 생성함.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가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한다.
즉, 리터럴은 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약속한 표기법이다.
리터를을 사용하면 다양한 종류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5.3 표현식

표현식(expression)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되는 문이다. 즉, 표현식이 평가되면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 값을 참조한다.
리터럴은 값이기 때문에 리터럴도 표현식이다.
표현식은 리터럴, 식별자 (변수, 함수 등의 이름), 연산자, 함수 호출 등의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양한 표현식은 모두 값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모두 동일하다.
즉,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statement)은 모두 표현식이다.
표현식과 표현식이 평가된 값은 동등한 관계, 즉 동치(equivalent)다.
문법적으로 값이 위치할 수 있는 자리에는 표현식도 위치할 수 있다.
표현식은 다른 표현식의 일부가 되어 새로운 값을 만들어 낼 수 있다.

5.4 문(statement)

문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단위.
문의 집합은 프로그램, 문을 작성하고 순서에 맞게 나열하는 것은 프로그래밍.
문은 여러 토큰으로 이루어진다.
토큰(token) :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며, 문법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 요소를 의미한다.
ex)

var plus = 10 + 20;

-> 문(statement)

var, plus, =, 10, +, 20, ;

-> 토큰

문은 여러 토큰으로 이루어진다.
문을 명령문이라고도 부른다. 즉, 문은 컴퓨터에 내리는 명령이다.
문이 실행되면 명령이 실행되고 무슨 일이 일어난다.
문의 종류 4가지
1) 선언문 : 변수 선언문 실행 시, 변수가 선언됨.
2) 할당문 : 할당문 선언 시, 값이 할당됨.
3) 조건문 : 조건문 실행 시, 지정한 조건에 따라 실행할 코드블록 ({...})이 결정되어 실행됨.
4) 반복문 : 반복문 실행 시, 특정 코드블록이 반복 실행됨.

5.5 세미콜론과 세미콜론 자동 삽입 기능

세미콜론(;)은 문의 종료. 즉,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세미콜론을 통해 문의 종료 위치 파악 및 순차적으로 하나씩 문을 실행한다.
꼭 문을 끝낼 때는 세미콜론을 붙여야 한다.
단, 중괄호로 묶은 코드블록({...}) 뒤에는 세미콜론을 안 붙인다. 이런 코드블록은 자체 종결성(self closing)을 갖기 때문이다.
문의 끝에 붙이는 세미클론은 옵션이다. 즉, 생략 가능하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세미클론 자동 삽입 기능(ASI automatic semicolon insertion)이 암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
하지만 ASI의 동작과 개발자 예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기 때문에,
결론은 세미클론을 꼭 붙이자!

5.6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

표현식은 문의 일부일 수도 있고 그 자체로 문이 될 수도 있다.
표현식과 문을 구별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 표현식인 문 (값으로 평가될 수 없는 문) ex) 할당문
┗ 표현식이 아닌 문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 ex)변수 선언문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을 구별하는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은
'변수에 할당해 보는 것이다!'.
완료값이란? completion value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표현식이 아닌 문을 실행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출력한다.
이를 '완료값'이라 한다. 따라서 다른 값과 같이 변수에 할당할 수도 없고 참조할 수도 없다.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표현식인 문을 실행하면 언제나 평가된 값을 반환한다.

profile
보여주고 증명하며 사는 삶.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