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Sprint - Simple Git Workflow

Young Han·2021년 4월 16일
0

기술블로그

목록 보기
4/7
post-thumbnail

이번 스프린트는 페어와 함께 git hub을 통해 협업을 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해 연습하는 과정이었다.

연습하는 과정을 대략적으로 요약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 드라이버와 내비게이터의 역할을 번갈아가며 작업 기록(commit)을 제출(push)한다.
  • pair가 fork한 repo로부터 pull하여 pair programming을 위한 Git Workflow을 익힌다.
  • Local Repository의 코드가 상대방의 코드와 동기화가 되어야 한다.
  • 서로 동일한 라인을 수정하고 push 및 pull하여 파일이 서로 충돌하는 상황을 연출하고, 충돌을 해결한다.

과정을 순서대로 작성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1.원하는 원본(master)레파지토리를 fork 해서 가져온다.
2.git clone 으로 받아온다.
3. 같이 프로그래밍으로 수정해야하는 페어 혹은 팀원과 동기화를 진행한다.
명령어 : git remote add pair (Repo URL for pairs fork)
동기화 확인 : git remote -v

4.페어의 디렉토리와 동기화가 잘되었다면 원하는대로 코드를 수정한다.
5.그다음 순서대로 git status -> git add -> git commit 을 한다.
6.커밋 후 git push origin master 나의 레파지토리로 push한다.
그 이후 페어의 변경된 내용을 가져와서 수정하려면
7.git pull pair master 로 페어의 수정본을 가져온다.

8.마음대로 파일을 수정 후 순서대로 git status -> git add -> git commit 을 한다.
9.커밋 후 git push origin master 나의 레파지토리로 push한다.
(중요! 동기화된 페어의 레파지토리에 있는 내용을 pull로 가져온다음 나의 레파지토리에 push 한다!!)

git을 통해 협업하는 과정을 알았다면 혹시모를 충돌에 있어서도 어떻게 대처를 해나갈지 알아보자.
파일 수정후 git pull를 안해줄 경우
터미널'CONFLICT(충돌)'라는 단어가 뜨고 수정되기 전 코드와 수정을 해준 코드가 충돌된 부분이 빨간색과 녹색 부분으로 구분해서 뜨게 된다.
그럴때는 다시 파일을 연 후 수정을 하고 git pull 해준 후 git add -> git commit -> git push 를 해주면 충돌된 부분이 해결이 된다.

앞으로 개발자로 현역에 들어 갔을때 git hub로 협업을 많이 한다고 들었다.
아직 초반이라 익숙하지 않지만 과제나 프로젝트 협업이 필요할 때 마다 이 과정을 반복한다고 하니 언제가는 눈감고도 하는 날이 오기를!!!🙏

이미지 파일을 받아와서 부분 마다 첨부를 해주면 조금 더 쉽게 이해가 될꺼 같지만 스프린트 과정을 하면서 미리 캡쳐를 안해줘서 아쉽지만 첨부할 이미지 파일이 없다... 다음에 git hub로 협업을 하는 스프린트가 있으면 꼭 부분마다 캡쳐를 해서 블로깅 할때 이미지 첨부를 하면서 기술 블로그를 작성하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