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의 공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는 경로. Home 디렉토리 이외의 다른 디렉토리 들은 주로 system directory 라고 하는데, 즉 리눅스의 운영과 관리에 관련한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들. ~ 기호로 곧바로 접근할 수 있음.
/bin & /sbin
윈도우 : C드라이브/windows/system32 폴더
Binary의 약자. OS의 최소한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폴더. cat, chmod, chown, cp, date, echo, kill, ln, ls, mkdir, etx 와 같은 기초적인 프로그램들이 포함.
sbin 폴더는 bin과 유사하지만 오직 루트유저 전용 프로그램 포함.
/usr
윈도우 : C드라이브/Users/사용자1
user의 약자. 각 유저 이름에 해당하는 폴더이름이 존재. 각 폴더마다 bin, sbin, shared, lib과같이 각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폴더가 생성되어 있음. 각각의 유저별로 다른 파티션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 록 마운트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수정할 수는 없음.
전부 외우려고 하기 보다는 리눅스 역시 기본적인 파일 시스템 구조가 존재하고, 주로 내가 쓰게 될 기능과 공간이 어디에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익히는 게 좋음.
PATH
/ : root 디렉토리
~ : home 디렉토리
절대 경로 : Absolute path는 이름 그대로 절대적 경로. 경로를 표현하는 방식이 root 디렉토리 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서 "완전한"의 의미에 더욱 가까움. (ex. /home/eun/bin)
상대 경로 : Relative path. 현재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경로. (ex. c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