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확인 - 요구사항 확인
요구사항
요구사항 개념
요구공학의 개념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도출, 분석, 명세 확인 및 검증하는 구조화된 활동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도출, 분석, 명세 확인 및 검증
요구사항 개발 단계 상세
요구사항 도출 주요 기법
- 인터뷰: 이해관계자와 대화를 통해 도출하는 공식적/비공식적 정보 수집 방법
- 브레인 스토밍: 말하기 편한 분위기를 만들어서 비판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의
- 델파이 기법: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 및 미래 예측을 하는 방법
- 롤 플레잉: 현실에서 일어나는 장면을 각자 맡은 역할로 수행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수집
- 워크숍: 단기간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전문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 설문 조사: 설문지 또는 여론조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요구사항 명세 단계 주요 기법
- 비정형 명세기법: 사용자 요구를 표현할 때 자연어로 표기하는 기법
- 정형 명세기법: 사용자 요구를 표현할 떄 수학적인 원리와 표기법으로 서술하는 기법
요구사항 명세 원리 및 검증 항목
- 명확성: 요구사항 명세 내용은 하나의 의미만 부여
- 완전성: 시스템 요구사항 모두 포함
- 검증 가능성: 요구사항 충족 여부와 달성 정도 확인 가능
- 일관성: 요구사항 내용 간 상호 모순이 없어야 한다
- 수정 용이성: 요구사항 변경 시 쉽게 수정 가능
- 추적 가능성: 요구사항 근거에 대한 추적이 가능
- 개발후 이용성: 시스템 개발 후 운영 및 유지보수에 효과적
요구사항 확인 및 검증 단계의 주요 기법
정형 기술 검토 활용
- 동료 검토: 2~3명이서 진행하는 리뷰 형태
- 워크 스루: 오류를 조기에 검출하기 위해 회의 전에 자료를 배포해서 사전검토 후 짧은 시간동안 회의를 진행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것
- 인스펙션: 저작자 외 다른 전문가가 검사하여 오류를 찾아내는 공식적 검토 방법
동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