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10-3.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_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

말하는 감자·2025년 1월 7일
0

정보처리기사 실기

목록 보기
21/29
post-thumbnail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

애플리케이션 성능 분석

애플리케이션 성능 측정 지표

  1. 처리량: 주어진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
  2. 응답 시간: 응답 출력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3. 경과 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요구를 입력한 시점부터 처리 후 완료될 때까지 시간
  4. 자원 사용률: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사용량

    처응경자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

베드 코드

다른 개발자가 로직을 이해하기 어렵게 작성된 코드

베드 코드 사례

  1. 외계인 코드: 아주 오래되거나 유지보수가 어려운 코드
  2. 스파게티 코드: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가 복잡하게 얽힌 코드
  3. 알수 없는 변수 명
  4. 로직 중복

클린 코드의 작성 원칙

  1. 가독성: 이해하기 쉬운 용어 사용
  2. 단순성: 한번에 한 가지만 처리
  3. 의존성 최소: 영향도를 최소화
  4. 중복성 제거: 중복된 코드 제거
  5. 추상화: 상세 내용은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

리팩토링을 통한 성능 개선

  • 리팩토링 개념
    유지보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복잡한 소스 코드를 수정, 보완하여 가용성 및 가독성을 높이는 기법
profile
주니어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