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CW에서 들은 반효경 교수님의 강의를 토대로 정리한 운영체제 내용입니다.
2014년도 반효경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046323\-> 해당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
Deadlock >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block된 상태 프로세스가 자원을 사용하는 절차 1.request, 2. Allocate 3.Use 4.Release 1. Deadlock 발생의 4가지 조건 1) Mutal exclusion (상호 배제) > 매 순간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2) No pre...
1. 주소 바인딩 >논리적 주소를 물리적 메모리 주소로 연결시켜 주는 작업 앞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면 해당 프로세스의 독자적인 주소공간이 생긴다. 그 주소공간을 논리적 주소(logical address) 라고 한다. (혹은 가장 주소) 1-1. 논리적 주소와
물리적 메모리는 <span style='background-color:사용자 프로세스 영역은 사용자 프로세스가 적재되어 실행된다.이 곳에 적재되는 방식(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적재되는 방식)에 따라 1) 연속할당2) 불연속할당 으로 나뉜다.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올릴 때
Demand Paging 1-1. Page Fault (페이지 부재) > CPU가 참조하려는 페이지가 현재 메모리에 올라와 있지 않아 유효-무효 비트가 무효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페이지 폴트가 발생한 경우 주소 변환을 담당하는 HW인 MMU가 트랩을 발
1. 파일 그리고 파일 시스템 1-1. 파일 1) 파일 > " A named collection of related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비휘발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OS는 다양한 저장 장치를 file이라는 동일한 논리적 단위로 볼 수 있게 해준다.
1. 디스크 관리 1-1. 디스크의 구조 논리 블록(logical block) 하나와 섹터 하나가 1:1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physical formatting > 디스크를 컨트롤러가 읽고 쓸 수 있도록 섹터들로 나누는 과정 cylinder > 원판에서 상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