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개념, 변수, 연산자

은지·2024년 2월 13일
0

슥 삭 슥 삭

목록 보기
8/8
post-thumbnail
  1. 자바스크립트 개념
  2. 변수
  3. 연산자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슬라이드 효과, 팝업 효과 등의 기능을 포함한 동적인 웹사이트 제작 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변수 → 데이터를 담는 공간

특성letvarconst
스코프블록 스코프 (block scope)함수 스코프 (function scope)블록 스코프 (block scope)
재할당 가능가능가능불가능
초기화 필요아니요 (선언 후 할당 가능)아니요 (선언 후 할당 가능)
호이스팅일부 호이스팅 (TDZ에 대한 경고)호이스팅일부 호이스팅 (TDZ에 대한 경고)
재선언 가능불가능가능불가능

→ 변수 선언 : 데이터를 담을 공간을 생성하는 것
→ 변수 초기화 : 생성된 변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

var fruit;
fruit = "apple"

var fruit = "apple";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fruit = "banana";    // 데이터 변경

→ 변수명 생성 시 주의사항

숫자로 시작 불가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하기
의미가 불명확한 단어들의 조합X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

Untitled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1. 할당 연산자:
    • =: 변수에 값을 할당
    • +=, =, =, /=, %= 등: 현재 변수에 다른 값을 연산한 후 그 결과를 변수에 할당
    let x = 5;
    x += 3;          // x = x + 3;
    console.log(x);  // 출력: 8
  1. 산술 연산자:
    •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let a = 10;
    let b = 3;
    let sum = a + b;
    let difference = a - b;
    let product = a * b;
    let quotient = a / b;
    let remainder = a % b;
    
    console.log(sum);        // 출력: 13
    console.log(difference); // 출력: 7
    console.log(product);    // 출력: 30
    console.log(quotient);   // 출력: 3.3333333333333335
    console.log(remainder);  // 출력: 1
  1. 비교 연산자:
    • ==: 동등 비교
    • !=: 부등 비교
    • ===: 일치 비교 (값과 타입이 모두 같은지 비교)
    • !==: 불일치 비교 (값 또는 타입이 다른지 비교)
    • >, <, >=, <=: 크기 비교
    let x = 5;
    let y = 10;
    
    console.log(x == y);   // false
    console.log(x != y);   // true
    console.log(x === y);  // false
    console.log(x !== y);  // true
    console.log(x > y);    // false
    console.log(x < y);    // true
    console.log(x >= y);   // false
    console.log(x <= y);   // true
  1. 논리 연산자:
    • &&: 논리 AND
    • ||: 논리 OR
    • !: 논리 NOT
    let a = true;
    let b = false;
    
    console.log(a && b); // false
    console.log(a || b); // true
    console.log(!a);     // false
  1. 증감 연산자:
    •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
    • -: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
    let x = 5;
    
    x++;            // x = x + 1;
    console.log(x); // 출력: 6
    
    let y = 10;
    y--;            // y = y - 1;
  1. 조건(삼항) 연산자:

    • condition ? expr1 : expr2: 조건에 따라 두 가지 표현식 중 하나를 선택
    let age = 20;
    let canDrink = age >= 18 ? 'Yes' : 'No';
    console.log(canDrink); // 출력: Yes
  2. 타입 연산자:

    • typeof: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반환
    • instanceof: 객체가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 확인
    let a = 5;
    let b = 'hello';
    
    console.log(typeof a); // 출력: number
    console.log(typeof b); // 출력: string
  1. 비트 연산자 (주로 이진수 연산에 사용됨):
    • &: 비트 AND
    • |: 비트 OR
    • ^: 비트 XOR
    • ~: 비트 NOT
    • <<: 왼쪽 시프트
    • >>: 오른쪽 시프트
let a = 5;           // 이진수: 101
let b = 3;           // 이진수: 011

console.log(a & b);  // 출력: 1 (이진수: 001)
console.log(a | b);  // 출력: 7 (이진수: 111)
console.log(a ^ b);  // 출력: 6 (이진수: 110)
console.log(~a);     // 출력: -6
console.log(a << 1); // 출력: 10 (이진수: 1010)
console.log(b >> 1); // 출력: 1 (이진수: 1)
profile
두 줄 소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