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는 전 세계 분산형 DB 구조로 동작
Domain Name Space
최상위에 Root DNS서버(.
)가 존재하고 그 밑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노드가 연속해서 이어진 계층구조로 구성
각 층의 도메인들은 그 하위 도메인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구조
Resource Record
도메인 이름에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들
주소/호스트 레코드;
주소 레코드;
별칭 레코드;
메일 교환 레코드;
서비스 위치 레코드;
권한 시작 레코드;
네임 서버 레코드;
Name Server
Resolver(Client S/W)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Nesite.com을 검색하고,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인 KT DNS 서버(ISP DNS Server)에게 도메인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요청.
ISP DNS Server에선 캐시 데이터가 없다는 걸 확인하고 Root DNS 서버에게 어디로 가야 하는지 요청함(캐시가 있다면 8.로 건너 뜀.)
루트 서버는 TLD DNS Server 주소만 관리하기 때문에, xx.com 도메인을 보고는 COM 최상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TLD DNS Server 주소를 안내함.
ISP DNS Server는 COM 서버에게 어디로 가야 하는지 다시 요청함.
COM 서버는 gabia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이 관리되고 있는 걸 확인하고 안내함.
ISP DNS Server는 gabia 서버에게 또 다시 요청함.
gabia 서버는 “Nesite.com = 12.123.123.123”이라는 정보를 확인하고 이 IP를 알려줌. 동시에 ISP DNS Server는 해당 정보를 캐시로 기록해 둠.
ISP DNS Server는 브라우저에게 힘들게 알아 낸 12.123.123.123 주소를 안내함.
웹 브라우저는 12.123.123.123 IP 주소를 갖고 있는 호스팅 서버에게 웹사이트를 출력하라고 요청함.
웹 페이지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