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이해하기

정연진·2022년 1월 6일
0

spring에 대해 까먹은 부분도 있고 겉핥기식으로 알고 있는 부분이 많아
spring을 제대로 이해해 보고자 인프런의 김영한님의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Spring project 시작하기


https://start.spring.io/
spring initializr는 처음 사용해 봤는데 굉장히 편리하다.

Maven vs Gradle

메이븐과 그래들은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땡겨오고 라이프사이클까지 관리해주는 툴이다.
요즘엔 그래들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를 함께 다운로드 한다.

내가 추가한 spring-boot-starter-web이 의존하고 있는 라이브러리들을 gradle이 다 땡겨온다.
사진상의 spring-boot-starter-tomcat 또한 gradle에 의해 설치되어있다.

한마디로 spring boot와 관련된 라이브러리를 쓰면 spring core까지 다~ 세팅이 된다.

Spring은 톰캣서버를 내장하고 있다.

MVC


컨트롤러에서 리턴 값으로 문자를 반환("hello")하면 뷰리졸버가 templates에서 hello.html을 찾아서 모델을 넘기며 처리한다.

템플릿엔진(thymeleaf)를 모델,뷰,컨트롤러로 쪼개서
컨트롤러에서 뷰로 모델에 데이터를 담아서 전달.
뷰를 렌더링해서 client에게 전달.

API


@ResponseBody : http의 body에 return값을 직접 넣겠다.

return값이 객체라면 json으로 변환된다.

profile
열공해욧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