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FE Developer

[내일배움캠프 WIL] 9주차

일주일을 돌아보며... 주말에 리액트 최적화하는 훅에 대해 좀 살펴봤다. 일단 지금은 클래스형이 아닌 함수형 컴포넌트로 훅스 이용해서 구현하고 있는데 클래스형으로는 아직 구현 안해봐서 잘 모르겠지만 일단 배운 것에서 기억나는 부분은, 리액트는 자신의 state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다시 렌더링된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메모리 주소를 참조(변수의 초기화)하는데 useMemo나 useCallback 훅의 원리는 다시 랜더링 해도 메모리에 최초에 생성된 함수 주소를 메모이제이션(이미 계산해놓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재사용하는 것)하도록 하는 원리로 다시 계산을 하지 않고 이미 계산한 값을 재사용함으로써 코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 같다. 물론 이를 사용함으로써 렌더링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잡아두는 메모리가 있기에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곳에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에 역효과가 있을 수 있어서 자주 변경되는 부분이나 복잡한 로직을 처리해야하는 필요한 곳에

2023년 1월 2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