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다형성에 관하여..

차_현·2023년 3월 31일
1

역할(인터페이스)과 구현(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으로 세상을 구분할 수 있다.

Ex). 운전자-자동차, 공연-무대..........

이렇게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세상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변경도 편리해진다.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럼 JAVA에서는 어떨까??
    역할을 인터페이스, 구현을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클래스)라고 앞으로 설명하겠다.

    객체를 설계할 때는 '역할' 과 '구현'을 철저하게 분리해야 한다.
    아직 이것이 무슨 소리인지 감이 안잡힐 수 있다.

    쉽게 말해, 객체를 설계할 때는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구현보다 역할이 더 중요하다)

    이런 코드가 있다.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MemberRepositro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MemberRepositroy memberRepository = new JdbcMemberRepository();
    	}

    MemberService가 MemberRepository인터페이스를 선언해놓고,
    값을 MemoryMemberRepository를 대입할 수 있고,
    그것을 JdbcMemberRepository로 바꿀 수 도 있다.

    🧑‍💻참고🧑‍💻
    스프링-핵심원리 기본편(김영한)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