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깃허브 정리본용어sequential structure(순차구조): 한 문장씩 순서대로 처리되는 구조select structure(선택구조): 조건식으로 평가한 결과에 따라 실행 흐름이 변경되는 구조repetition structure(반복구조): loop라고 불리는 반

깃허브 정리본용어mutable 자료형: 원소를 변경할 수 있는 자료형 => 파이썬에서의 list, dict, set 등immutable 자료형: 원소를 변경할 수 없는 자료형 => 파이썬에서의 tuple, str 등unpack: list/tuple의 원소값들을 풀어 여

깃허브 정리본용어linear search(선형검색) = sequential search(순차검색): 선형으로 늘어선 배열에서 검색하는 경우, 앞부터 순서대로 스캔하는 알고리즘=> 정렬되지 않은 배열에서 검색할 때 사용하는 유일한 방법sentinel method(보초법)

깃허브 정리본용어stack(스택):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때 사용되는 자료구조로, LIFO(후입선출) 방식push(푸시): 스택에 데이터를 넣는 작업pop(팝): 스택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작업stack pointer(스택포인터): 스택에 쌓여 있는 데이터의 개수를 나타

깃허브 정리본용어recursion(재귀): 어떠한 이벤트에서 자기 자신을 포함하고 다시 자기 자신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경우direct recursion(직접재귀): 자신과 똑같은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indirect recursion(간접재귀): a->b->a순으로 다시

깃허브 정리본용어sorting(정렬): 데이터 집합을 일정한 순서로 바꾸어 늘어놓는 작업\-> ascending(오름차순) / descending(내림차순)'안정적인' 정렬 알고리즘: 값이 같은 원소의 순서가 정렬 후에도 유지되는 알고리즘internal sorting(

깃허브 정리본용어shell sorting(셸 정렬): 단순 삽입 정렬의 방법을 유지하되, h값으로 배열의 원소들을 grouping해 각 그룹별로 단순 삽입 정렬하는 것을 반복하는 알고리즘\-> 불안정적인 정렬 알고리즘, 퀵정렬 고안 전까지 가장 빨랐던 알고리즘, 시간

깃허브 정리본용어merge sort(병합 정렬): 배열을 앞/뒤 두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정렬한 후 병합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알고리즘\-> 안정적인 정렬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O(nlogn)heap(힙)=partial ordered tree(부분 순서 트리): '부모의

깃허브 정리본용어brute force method(브루트포스법) = 단순법: 선형 검색의 확장판으로, 문자열의 첫 문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해 나가는 것=> 이미 검사한 위치를 기억하지 못해 효율이 좋지 않음=>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KMP법: 텍스트와 패턴안에서

깃허브 정리본용어node(노드): 트리에서 원소에 해당하는 부분edge(가지): 트리에서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root(루트): 트리의 가장 위쪽에 있는 노드leaf(리프) = terminal node(단말노드) = external node(외부노드): 가장 아래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