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1.1 403: HTTP 프로토콜 버전 및 상태 코드. 여기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거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Vary: Origin: 서버 응답이 다른 오리진(Origin)에서 요청된 경우 캐시를 다르게 처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립니다.
Vary: Access-Control-Request-Method: 서버 응답이 다른 요청 메서드로 요청된 경우 캐시를 다르게 처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립니다.
Vary: Access-Control-Request-Headers: 서버 응답이 다른 요청 헤더로 요청된 경우 캐시를 다르게 처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립니다.
X-Content-Type-Options: nosniff: 브라우저가 콘텐츠 유형을 스니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시합니다.
X-XSS-Protection: 0: 브라우저의 내장된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필터를 비활성화합니다.
Cache-Control: no-cache, no-store, max-age=0, must-revalidate: 캐시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시합니다. 즉시 만료되며, 항상 서버로부터 새로운 응답을 가져와야 합니다.
Pragma: no-cache: 캐시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시합니다.
Expires: 0: 캐시의 만료 시간을 과거로 설정하여 응답이 즉시 만료되도록 합니다.
X-Frame-Options: DENY: 페이지가 다른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릭 재킹(clickjacking)과 같은 공격을 방지합니다.
Content-Disposition: inline;filename=f.txt: 응답 콘텐츠의 표시 방법을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인라인 표시로 설정되어 있으며 파일 이름은 "f.txt"입니다.
Content-Type: application/json: 응답 콘텐츠의 MIME 유형을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JSON 형식임을 나타냅니다.
Transfer-Encoding: chunked: 데이터가 청크로 전송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Date: Tue, 20 Feb 2024 09:33:20 GMT: 응답이 생성된 날짜와 시간을 나타냅니다.
Keep-Alive: timeout=60: 연결이 유지되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60초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Connection: keep-alive: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TCP 연결이 유지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