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scriptable에 대해 가벼운 팁을 말해보고자 한다. 이전 글부터 말했지만 나는 개발자이다. 그래서 비전공자가 봤을때는 모를수도 있는 그런 코딩들에 대해 말해 보고자 한다. 소스만 보고 중간 수정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수정자를 왜 찾냐고? scriptable의 경우 기존의 코드를 본인의 입맛에 맞게 수정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수정 또는 일부기능 삭제를 하고 잘 동작할 경우 코드를 다시 확인하지않고 재배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럴경우 지금은 기존에 미처 제거가 완벽히 되지못한 기능에서 오류가나서 실행이 안된다던지 다음 이용자/수정자가 수정시 질서가 안잡힌 코드에 혼란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물론 100% 그런것은 아니나 내가 사용했던 소스중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있었어서 한번 써보고 싶었다. 공백이 일정치 못한 경우 > 저기 위에 띄워쓰기가 안되있는것만 보고 다른 사람이 수정했냐고 말하는게 억측이라고 말할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코딩을 교육
저번에 포스팅한거처럼 오늘은 scriptable에 대한 간단한 코딩을 말해보고자 한다. 최대한 쉽게 작성하고 코딩을 모르는사람도 볼 수 있게 작성해보고자 했다. 초보자관점으로 수정에 대한 내용을 작성했으니 처음부터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아마 원하는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배경 색상 변경 >javascript let text = widget.addText("텍스트"); text.textColor = new Color("#ffffff"); 텍스트 색상 변경도 배경 색상 변경과 크게 다르지 않다. 위젯텍스트의 경우 먼저 위젯을 생성하고 위젯안에 텍스트를 생성해두고 색상 변경을 진행해야한다. 또 경고창같은곳에 쓰이는 텍스트필드의 경우에도 먼저 경고창을 생성해주고 텍스트필드를 생성후 색상을 변경하면된다. 여기에서는 text가 변수명이며 위젯안의 "텍스트"라는 값이 담긴 텍스트이다. 그 후 textColor를 통해 색상을 선언해준 것이다. 색상은 위의 배경 색상 변
먼저 scriptable을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JavaScript를 사용하여 iOS를 자동화할 수 있는 앱이다. JavaScript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맛에 맞게 커스텀한 위젯을 만들 수 있다고 보면 될거 같다. 알게된 계기 먼저 나는 Apple제품을 사용한지 얼마 안됬다. 작년 10월쯤?에 iPad와 iPhone을 거의 동시에 사면서 넘어오게 되었다. 그래서 필수앱등 모르는걸 iPhone만 10년차인 누나한테 많이 물어봤다. 그랬더니 scriptable을 자주 알려줬는데 그때는 몰랐다. 수정부탁하려고 잘알려줬다는 사실을... ![](https://images.velog.io/images/e3hope/post/4912347d-4515-4188-acdf-8806f4642922/app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