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의 이름은 항상 대문자로 쓴다라고 알고 있었다.
그렇지 않다는 내용을 보았다. 출처 참고
상수에 직접 값을 넣을 때는 대문자를 쓴다. 하드 코딩한 값의 별칭으로 사용할 때는 상수 이름을 대문자로 쓴다. 이러한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전에 이미 값을 알고 있다.
반면, 상수라도 런타임에서 값이 결정되는 경우는 대문자가 아닌 소문자로 쓰는 것이 더 적합하다.
const birthday = '18.04.1982';
const age = someCode(birthday);
someCode는 무시하자
위와 같은 두 가지 상수가 있다. 상수이기 때문에 birthday와 age는 처음 할당된 이후 재할당되지 않는다.
하지만, birthday는 생일 값을 하드 코딩하였고, age는 birthday 상수를 활용하여 어떠한 작업을 거친 결과로 나온 상수로 런타임에서 그 값이 결정된다.
따라서 birthday는 대문자로 age는 소문자로 쓰는 것이 적합하다.
const BIRTHDAY = '18.04.1982';
const age = someCode(birth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