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query - 이제는 tanstack query- 에서는 데이터의 상태를 fetching -> fresh -> stale -> inactive -> delete 의 흐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fetching
: 데이터 요청 상태.fresh
: 데이터가 만료되지 않은 상태.(컴포넌트의 상태가 변경되어도 데이터를 다시 요청하지 않는다. 새로고침하면 다시 fetching.)stale
: 데이터가 만료된 상태.( staleTime 기본값 0ms 가 지나면 fresh → stale 로 변경, 최신화가 필요한 데이터. 컴포넌트가 Mount, update 되면 데이터를 다시 요청)inactive
: 사용하지 않는 상태.( cacheTime 기본값 5분이 지나면 Garbage Collector가 캐시에서 제거.)delete
: Garbage Collector에 의해 캐시에서 제거된 상태.stale 상태는 데이터가 만료된 상태로 refetch 대기 상태입니다. react query 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stale 데이터를 refetch 합니다.
stale 상태의 데이터들을 CUD 후에 업데이트하거나 로그아웃시에 이전의 query key 들의 구독을 끊어버릴 때 key들을 invalidate 하는 상황이 많았습니다.
위의 네 가지 invalidate 방법을 비교하기 전에 isLoading 상태와 isFetching 상태를 비교해보면
→ . If a query has initialData
, the query's data will be reset to that.
→ removes the query from the cache, but it doesn't re-render the page. So the data will stay on the screen. If the page re-renders for some other reason, it will go back to loading
state and start to f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