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이도🖤🖤🤍 | 풀이시간 40분 | 제한시간 1초 | 메모리제한 128MB
# 입력
n, m = map(int, input().split()) # 맵 크기
row, col, head = map(int, input().split()) # 캐릭터 초기 위치와 방향
# 칸 상태 : 바다 = 1, 육지 = 0, 방문한 섬 = -1
guide = []
for x in range(n):
temp = list(map(int, input().split()))
guide.append(temp)
answer = 0 # 방문한 칸의 수
guide[row][col] = -1
answer += 1
# 알고리즘
heading = [0, 1, 2, 3] # 방향 값들
move = [(-1, 0), (0, 1), (1, 0), (0, -1)] # 방향에 따른 움직임
test = 0 # 테스트 횟수, 4이면 네 방향 모두 돌아본 것
done = False
while not done:
# 네 방향 모두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 있는 경우
if test == 4:
# 한 칸 뒤로 간다. 이 때 뒤가 바다이면 종료
if guide[row-move[head][0]][col-move[head][1]] == 1:
done = True
break
else:
row -= move[head][0]
col -= move[head][1]
test = 0 # 테스트 초기화
# 왼쪽 방향으로 회전
head = heading[head-1]
test += 1
#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
if guide[row+move[head][0]][col+move[head][1]] == 0:
# 전진
row += move[head][0]
col += move[head][1]
# 방문 표시
guide[row][col] = -1
# answer 증가
answer += 1
# 테스트 초기화
test = 0
# 존재하지 않는다면 또 왼쪽으로 회전
else:
continue
# 출력
print(answer)
# N, M을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n, m = map(int, input().split())
# 방문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맵을 생성하여 0으로 초기화
d = [[0] * m for _ in range(n)]
# 현재 캐릭터의 X 좌표, Y 좌표, 방향을 입력받기
x, y, direction = map(int, input().split())
d[x][y] = 1 # 현재 좌표 방문 처리
# 전체 맵 정보를 입력받기
array = []
for i in range(n):
array.append(list(map(int, input().split())))
# 북, 동, 남, 서 방향 정의
dx = [-1, 0, 1, 0]
dy = [0, 1, 0, -1]
# 왼쪽으로 회전
def turn_left():
global direction
direction -= 1
if direction == -1:
direction = 3
# 시뮬레이션 시작
count = 1
turn_time = 0
while True:
# 왼쪽으로 회전
turn_left()
nx = x + dx[direction]
ny = y + dy[direction]
# 회전한 이후 정면에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
if d[nx][ny] == 0 and array[nx][ny] == 0:
d[nx][ny] = 1
x = nx
y = ny
count += 1
turn_time = 0
continue
# 회전한 이후 정면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거나 바다인 경우
else:
turn_time += 1
# 네 방향 모두 갈 수 없는 경우
if turn_time == 4:
nx = x - dx[direction]
ny = y - dy[direction]
# 뒤로 갈 수 있다면 이동하기
if array[nx][ny] == 0:
x = nx
y = ny
# 뒤가 바다로 막혀있는 경우
else:
break
turn_time = 0
# 정답 출력
print(count)
접근 방식 거의 비슷했던 것 같다.
나는 방문한 섬 표시를 따로 2차원 리스트를 또 만들지 않고, 지도에 '-1'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했다.
일반적으로 방향을 설정해서 이동하는 문제 유형에서는 dx, dy라는 별도의 리스트를 만들어 방향을 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답안 예시 코드에서는 현재 캐릭터가 북쪽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북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x와 y좌표를 각각 dx[0], dy[0]만큼 더한다. 다시 말해 현재 위치에서 (-1, 0)만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반복문을 이용하여 모든 방향을 차례대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리고 답안 예시 코드에서는 리스트 컴프리헨션 문법을 사용해 2차원 리스트를 초기화했다. 파이썬에서 2차원 리스트를 선언할 때는 컴프리헨션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부록A에서 자세한 내용 확인)
왼쪽으로 회전하는 함수 turn_left()에서 global 키워드를 사용했는데, 이는 정수형 변수인 direction 변수가 함수 바깥에서 선언된 전역변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