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란 무엇인가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기존 방식 비교

이보경·2023년 12월 30일
0

AWS

목록 보기
1/4
post-thumbnail

AWS란?

AWS는 Amazon Web Service의 약자로, Amazon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Cloud computing 이란 이름 그대로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처럼 사용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사용자가 물리적인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지 않고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On-demand)

온프레미스 방식의 물리적 IT 실행 환경의 제약을 극복(오프프레미스)

✏️ 온디맨드(On-demand):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가 바로 제공되어 사용할 수 있다. 장기 약정 없이 초 단위로 컴퓨팅 용량을 구입할 수 있고 수명 주기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즉 시작, 중지, 수면, 사용 시작 또는 종료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 온프레미스(On-premise): IT시스템 운용에 요구되는 데이터 센터에 H/W, S/W 설비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운용하는 방식 →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엄청난 자본과 인력이 동원된다.
✏️ 오프프레미스(Off-premise): 온프레미스와 반대로 데이터센터나 호스팅 또는 클라우드를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원격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방식 (클라우드 컴퓨팅)

기존 방식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기존 방식은, 개인/기업이 서버를 운용하기 위해 workstation이라 불리는 '서버 구동용 컴퓨터'를 구매하였습니다. 기업의 경우 'IDC'라고 불리는 서버 컴퓨터를 모아두는 건물에 서버를 입주시키고 일정한 사용료를 지불하며 사용하였습니다.

단점

  • 수요 예측이 어렵다
    : 사용량을 예측하여 구비해야 하는데, 만들어 둔 서버보다 훨씬 적은 접속량이라면 그 외의 서버 자원은 모두 낭비가 됩니다.
  • 초기/유지 비용이 크다
    : 서버 기기는 매우 고가의 장비이며, 그 외의 네트워크 장비와 IDC 입주 사용료 등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 확장하기 어렵다
    : 급작스런 사용자 증가에도 서버를 구입하고 설정하고 IDC에 넣는 과정을 거쳐야 서버를 추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클라우드 방식

AWS를 비롯한 모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이른바 '종량제'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즉, 컴퓨터를 사용하는 만큼만 돈을 내는 것이며, 기존 방식의 모든 단점을 보완합니다.

기존 방식 단점 보완

  • 수요 예측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 수요가 많아지면 더 많이 쓰고, 수요가 줄어들면 반납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 초기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다.
    : 물리서버를 살 필요가 없고, 따라서 IDC를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방화벽, 로드밸런서 등 네트워크 장비의 기능도 AWS에서 SW로 제공합니다.
  • 클릭 몇 번이면 바로 확장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플랫폼에는 거의 무한한 개수의 컴퓨터가 준비되어 있기에 더 많이 사용할 필요가 있으면 클릭 몇 번으로 추가하면 됩니다.

단점

  • 비싸다
    : 아주 낮은 성능의 컴퓨터도 한 달 내내 사요하면 3만원 정도가 부과되고, 성능이 높아질수록 엄청난 속도로 가격이 올라갑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들

AWS/Google CloudAzure
AmazonGoogleMicroSoft...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AWS 서비스 전체 제품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총 320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카테고리별 서비스을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주요 서비스 몇 가지에 대해 다음 글에서 정리해보자고 합니다.

참조

https://appmaster.io/ko/blog/aws-amazon-web-seobiseuran-mueosibnigga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