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1주차-3일차

김지용·2021년 7월 1일
0

자바와 자바스크립트의 차이...

*코드는 수려하게 짜는 것보다 동작하게 짜는 게 훨씬 중요하다

*그 코드를 어떻게 하면 깨끗하게 짤 수 있을지, 그 중요성을 알아야한다.

검사 -> console 창에서 웹페이지 바로바로 수정 실행검사 가능.

// 변수, 자료형, 함수, 조건문, 반복문

    변수는
  1. 값을 담는 박스다.
  2. 문자열도 담을 수 있는데 ''안에 있는 내용이 문자열이다.
  3. 변수이름은 그럴싸하게 짓는다.(남이 봐도 알아보기 쉽게)

콘솔창에서 새로고침하면 입력한 코딩들이 사라짐, 클리어 콘솔 해야함
    자료형
  1. list 제일 중요한 건 순서
  2. let a_dict = {'name' : 'bob','age':27} undefined a_dict["name"] "bob" a_dict['age'] 27 a_dict['height'] = 180 180 a_dict {name: "bob", age: 27, height: 180} a_dict['fruits'] = a_list (4) ["수박", "참외", "배", "감"] a_dict {name: "bob", age: 27, height: 180, fruits: Array(4)} a_dict['fruits'][2] "배"
  3. 딕셔너리와 리스트가 서로서로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타고타고 들어가는 연습을 이제 할 예정.
  4. % 뒤 숫자만큼 나누고 남은 수
    != 같지 않다

    자료형
  1. 이메일 판별법
    let myemail = 'ecec1023@gmail.com' undefined myemail.split('@') (2) ["ecec1023", "gmail.com"] myemail.split('@')[1] "gmail.com" myemail.split('@')[1].split('.') (2) ["gmail", "com"] myemail.split('@')[1].split('.')[0] "gmail"
  2. 한번에 끝을 찾으려 하지말고 뭐든지 이렇게 순차적으로 해야하는 게 중요

    함수
  1. 부르면 정해진 동작을 한다 = 이것이 함수
  2. 함수에서의 return = 끝내고 나를 변신시켜줘 라고 하는 것,
  3. 딕셔너리와 리스트가 서로서로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타고타고 들어가는 연습을 이제 할 예정.
  4. % 뒤 숫자만큼 나누고 남은 수
    != 같지 않다
profile
김죵입니당 ^^

0개의 댓글